[국회법 거부 후폭풍] 유승민 굴욕적 사과… 당정관계 다시 ‘수직’으로

입력 2015-06-26 16:14 수정 2015-06-26 16: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와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과로 당분간 당청관계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25일 국무회의에서 ‘배신정치 심판론’을 거론, 특히 “여당의 원내사령탑도 정부 여당의 경제 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 가는 부분”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사실상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한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그러자 유 원내대표는 26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정책자문위원 위촉장 수여식에서 “박근혜 대통령께도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자세를 바짝 낮췄다. 그는 “대통령께서 국정을 헌신적으로 이끌어 나가려고 노력하고 계시는데 여당으로서 충분히 뒷받침해주지 못한 점에 대해 송구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도 했다.

평소 당청 간 수평적 관계를 강조하며 쓴소리도 마다않던 그의 이번 사과는 보기 딱할 정도로 굴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통령이 여당에 날을 세우고 여당 지도부가 이처럼 몸을 낮추면서 그동안 어느 정도 수평적 관계를 유지했던 당청 관계는 다시 수직으로 퇴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유 원내대표에 대한 친박계의 불만도 많아 유 원내대표는 당에서 목소리가 작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김무성 대표도 일정 시간 동안은 청와대에 날을 세우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의 국무회 발언으로 김 대표를 비롯한 비박계 당 지도부가 많이 위축된 상태다.

내년 총선 공천에도 청와대가 상당부분 관여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당이 힘을 쓸 수 없는 상황이 돼서다.

다만 일각에선 정치권을 향한 박 대통령의 강경 대응도 오래 가진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데 대한 불만 세력이 적지 않은데다 지금 박 대통령의 지지율도 높지 않아 민심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당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계속해서 강압적인 태도를 보일 경우 오히려 비박계의 반발이 커질 수 있다”며 “가장 중요한 건 민심의 흐름”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74,000
    • -0.84%
    • 이더리움
    • 5,275,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638,500
    • -1.31%
    • 리플
    • 725
    • +0.28%
    • 솔라나
    • 233,400
    • +0.65%
    • 에이다
    • 623
    • -0.16%
    • 이오스
    • 1,133
    • +0.53%
    • 트론
    • 155
    • -0.64%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700
    • -1.15%
    • 체인링크
    • 25,580
    • +1.99%
    • 샌드박스
    • 604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