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壽山富海(수산부해) 산처럼 오래 살고 바다처럼 큰 부자 되기를

입력 2015-02-06 13: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철순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壽山富海

입춘첩에는 수산부해(壽山富海)라는 말도 많이 쓴다. 산처럼 오래 살고 바다처럼 큰 부를 이룩하라는 축원이다.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를 줄인 말이다. 오래 사는 것 열 가지, 즉 십장생은 해·산·물·돌·소나무 ·달(또는 구름)·불로초·거북·학·사슴을 말한다. 바다는 들어 있지 않지만 물이 곧 바다 아닌가?

수와 부는 당연히 인간의 오복에 들어간다. <서경>이 꼽은 인생의 바람직한 조건 다섯 가지는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이다. 유호덕은 덕을 좋아하며 즐겨 선행을 하는 것이고, 고종명은 제 명대로 살다가 편안히 죽는 것이다. 그러나 <통속편(通俗編)>이라는 책에는 수·부귀·강녕·자손중다(子孫衆多)로 돼 있다. 자손중다는 후손이 많다는 말이다.

오복 중 수와 강녕은 사실 같은 뜻일 텐데도 따로 내세운 것은 오래 살더라도 건강하게 오래 살아야 한다는 뜻이 아닐까. 수와 부를 한 단어로 만든 수부라는 말도 있다.

중국에서는 수산부해보다 수산복해(壽山福海)를 더 많이 쓴다. 수명은 산처럼 높고 복은 바다만큼 깊게[壽如山高 福似海深] 받으라는 뜻인데, 부보다 복이 더 큰 개념인 것 같다. 명 태조 때의 재상 유백온(劉伯溫)이 ‘수비남산 복여동해(壽比南山 福如東海)’라고 한 뒤부터는 이 말도 많이 쓰이고 있다. 왜 동해일까? 우리 쪽에서 보면 서해인데, 중국의 지형상 동쪽으로 물이 흐르게 돼 있기 때문이다.

시경 소아(小雅)편에는 여남산지수(如南山之壽), 남산의 목숨처럼 이지러지지도 무너지지도 않는다는 대목이 있다. 남산은 오악(五嶽) 중 하나인 후난(湖南)성의 형산(衡山)을 가리킨다. 높이 1265m.

중국에는 수산복해 양로원, 수산복해 노년아파트, 수산복해 병원 등이 많다. 십장생도와 비슷한 수산복해도 그림도 많이 볼 수 있다.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86,000
    • -1.51%
    • 이더리움
    • 4,969,000
    • -2.51%
    • 비트코인 캐시
    • 592,000
    • -2.39%
    • 리플
    • 719
    • +3.75%
    • 솔라나
    • 202,600
    • -3.71%
    • 에이다
    • 573
    • -2.55%
    • 이오스
    • 883
    • -4.75%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8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800
    • -3.14%
    • 체인링크
    • 20,450
    • -4.08%
    • 샌드박스
    • 489
    • -9.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