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라이프케어 연구소 출범

입력 2006-10-30 14: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생명은 차별화된 상품경쟁력과 글로벌 수준의 리스크체계 구축하고 국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를 담당할 삼성생명 라이프케어 연구소(SamsungLife Insurance Lifecare Institute)를 공식 출범시켰다고 30일 밝혔다.

삼성생명 라이프케어 연구소는 한국인의 건강과 질병, 위험율 연구 및 리서치 등을 통해서 미래 선진 상품의 트렌드를 선도해 나가는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연구소의 초대소장으로는 박현문 부사장(상품BU장)이 담당하고 부소장은 주연훈 상무(의학박사)가 맡는다.

해외 영입인사로는 부사장급인 Pokorski(전 Gen Re Life & Health 부사장, 의학박사) 및 이명원 고문(전 메릴린치 보험사 상무, 선진 금융상품 연구) 등 총 15명의 인력으로 출범되며 연말까지 선진상품 및 의료분야 전문가를 추가로 영입하여 총 20여명 내외의 연구인력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삼성생명 라이프케어연구소는 먼저, 건강과 질병예방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며 한국인의 행동습관 및 생활환경 요인과 질병간의 관련성 연구, 만성질환자의 행동분석 등 다방면에서 관련 기관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 제작, 건강 홍보책자(헬스케어 시리즈 등) 발간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질병 및 위험률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위해 선진 연구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 보험의 기본역량 강화 및 국내 보험산업의 선진화를 도모한다.

저출산, 고령화 등 사회구조 변화와 의료기술 발달에 따른 질병 발생율과 의료이용도 연구 분석을 통해 변화되고 있는 한국의 건강·의료 트렌드를 예측하고 국내외 보험 기초통계의 체계적인 구축을 통한 인프라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 국민의 라이프 스타일 및 미래시장이 요구하는 니즈 분석, FTA, 자본시장통합법 등 금융환경 및 정책변화에 따른 보험산업의 영향 분석과 선진제도·신보험기법 연구개발로 한국 보험시장의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해나갈 예정이다.

삼성생명 이수창 사장은 "향후 급격한 금융 시장환경의 변화 및 저출산, 고령화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등 어려운 환경에서 삼성생명이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고 보험산업 발전을 위해서 상품에 대한 R&D 및 미래 트렌드를 연구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는 말로 연구소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25,000
    • -1.13%
    • 이더리움
    • 4,964,000
    • -1.37%
    • 비트코인 캐시
    • 587,000
    • -3.53%
    • 리플
    • 706
    • +1.58%
    • 솔라나
    • 205,000
    • +0.34%
    • 에이다
    • 572
    • -2.22%
    • 이오스
    • 892
    • -4.29%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450
    • -3.44%
    • 체인링크
    • 20,520
    • -2.38%
    • 샌드박스
    • 506
    • -6.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