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은 16일 금융위원회로부터 ‘음식 주문중개 플랫폼 서비스’(땡겨요)를 부수 업무로 정식 승인받았다고 19일 밝혔다.
‘땡겨요’는 2020년 12월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후 1년여간의 준비과정을 거쳐 ‘너도 살고 나도 사는 우리 동네 배달앱’이라는 슬로건으로 2022년 1월 출시했다. 지난해 12월부터 혁신금융 규제 개선 작업을 시작하
지난해 4분기 10조 늘었는데...올해 0.17%↓원화가치 하락에도 기업대출 줄여 RWA 관리연간 증가율은 4% 웃돌아⋯"지속 조절 필요" "수익성 저하ㆍ자금공급 제약 등은 유의해야"
올해 1분기 원ㆍ달러 환율 상승에도 주요 은행들이 자본적정성 관리에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업대출 규모를 줄이는 등 자산 리밸런
5대 은행 점포수 3842개→3766개⋯76개 감소특화점포는 늘려⋯금융당국 "상황 예의 주시"
금융당국이 은행 점포 축소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주요 시중은행은 영업점을 계속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비대면 거래 확산이 주된 배경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소비자 접근성과 고령층 금융 소외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오를 것으
신한자산운용은 과학기술혁신펀드 위탁운용사 선정공고를 통해 총 1163억 원을 출자하고 7개 운용사를 선정해 2559억 원 규모 이상 벤처펀드를 조성한다고 13일 밝혔다.
과학기술혁신펀드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 자금을 예치·관리하는 3개 시중은행(신한은행, 기업은행, 우리은행) 자금으로 조성된 민관 협력 펀드다.
신한자산운용이 모펀드 운용을 맡아
LG CNS가 신한은행 직원과 고객을 위한 챗GPT 기반의 기업용 AI 서비스를 구축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가 지정한 10개의 생성형 AI 활용을 위한 혁신금융서비스 가운데, 신한은행이 LG CNS와 협력해 가장 먼저 서비스를 오픈했다.
LG CNS는 신한은행 직원의 업무를 돕는 ‘생성형 AI 금융지식 Q&A 서비스’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는
은행 의존도 여전⋯증권ㆍ카드 등 자회사 실적 뒷걸음밸류업 목표 달성 위해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 집중
4대 금융(KB·신한·하나·우리)의 1분기 순이익에서 비은행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지주들이 핵심 경영 목표인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달성을 위해 비은행 부문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만큼 이에 따른 위험가중자산(R
SK텔레콤 유심(USIM) 해킹 사고로 인해 금융 거래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비대면 보안 시스템을 한층 강화하며 대응에 나섰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주요 은행들은 이번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를 계기로 보안 서비스를 확대하고 고객 대상 피해 예방 안내를 진행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USD 5억 달러(약 7133억 원) 규모의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공모발행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채권은 5년 만기 고정금리 채권으로 발행금리는 동일 만기 미국 국채 금리에 0.72%p를 가산한 연 4.649%로 확정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글로벌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된 상황에서도 탁월한 재무성과와 그동안 쌓아온 해외 투자자와의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은행권에 "소상공인들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일은 없도록 철저한 교육과 홍보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날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 등과 신한은행 영업부를 방문해 소상공인 금융지원 현장을 점검했다.
은행권은 지난해 말 소상공인에 대한 지속가능한
"보여주기식 내부통제로는 사고 못 막아책무구조도 영업 현장 내실화 강화해야"
금융사들이 내부통제 강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은행권은 지난 1월 책무구조도를 제출하고 자체 감시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등 자구 노력을 확대하고 있지만 금융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부통제가 영업 현장에서 내실을 갖출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7일
은행권 역대급 실적과 맞물려 거센 비판가산금리 손질, 대주주 금지행위 확대 추진상생금융 압박⋯"민간금융 자율성 침해 우려"
금융사에서 잇따라 발생한 횡령 사고가 정치권의 규제 논리를 자극하는 빌미가 되고 있다. 특히 주요 시중은행에서 수십~수백억 원대의 횡령 사고가 반복되자 규제 강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여기에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상생
초고령사회 시니어 특화 전략 속속 출시건강 관리, 여가 활동 지원 등 비금융 결합
금융 상담받으러 갔다가 건강 상담까지 하고 왔어요. 예전에는 상상도 못 했죠.
서울 강남에 거주하는 70대 이지환(가명) 씨는 최근 동네 은행 지점을 찾았다가 뜻밖의 ‘라이프스타일 종합 상담’을 받았다. 재산 증여와 연금상품 상담은 물론이고 근처 병원과 연계된 건강검진 프
금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골드뱅킹 잔액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골드바 수요도 급증하며 일부 품목은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은행 3곳(KB국민·신한·우리)의 지난달 말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1조1025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말(1조265억 원)보다 760억 원 늘었으며, 지난해 4월 말(6101억 원)과 비교하면 약 1
신한은행 개인사업자 햇살론119…7개 은행 단계적 출시 은행권 전국 영업점서 '폐업자 지원 프로그램' 신청 접수
은행권이 폐업자 채무 부담을 완화하고 영세 개인사업자의 재기를 돕기 위한 맞춤형 금융상품을 내놓고 있다.
5일 은행권에 따르면 서민층을 대상으로 한 금융안전망 구축이 본격화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30일 ‘신한 개인사업자 햇살론
군인 전용 신용ㆍ전세대출 출시…적금 우대금리 추가나라사랑카드 사업자 신한ㆍ하나ㆍ기업은행 경쟁↑
은행들이 군인 고객 확보를 위해 전용 상품을 줄줄이 내놓고 있다. '미래고객'인 군인들을 선점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금리의 예ㆍ적금 및 대출을 출시하거나 니즈에 맞는 특화된 상품 등으로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지난달
미국과 중국이 관세협상 모드로 전환하면 이달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백석현 신한은행 S&T센터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외환시장 동향 및 5월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달 원·달러 환율 레인지를 1400~1450원으로 내다봤다.
백 이코노미스트는 “석 달 연속으로 월초환율이 들썩인 뒤 하락하는 흐름이 반복됐는데, 그 원흉은
한국은행의 디지털화폐 예금토큰 결제 3 건 중 1건이 신한은행의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땡겨요'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은에 따르면 예금토큰 실거래 실험 한 달 간 개설된 예금토큰 지갑 수는 지난달 28일 기준 약 5만7000건으로 집계됐다. 한은이 실험 참여 최대 인원으로 설정한 10만 명의 약 60% 수준이다.
한은은 지난달 1일 시
대출해 주는 대가로 억대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전직 증권사 본부장과 금융사 임직원 등이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이승학 부장검사)는 30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수재 등) 혐의를 받는 전 LS증권(현 이베스트투자증권) 본부장 남모 씨와 신한은행 차장 진모 씨를 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이들에게 금품을 공여
은행권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8개월 연속 확대됐다. 주요 은행이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를 더 많이 내리면서 확대 흐름이 이어졌다.
30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대출)을 뺀 3월 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예대금리차는 1.472%포인트(p)로 전월(1.38%p) 대비 0.09
신한은행은 은행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성실 이행 중인 개인사업자에게 사업자금을 지원하는 신상품 ‘신한 개인사업자 햇살론119’를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서민금융진흥원 보증서 담보대출로 만기연장·금리감면·중도상환해약금 면제 등 ‘맞춤형 채무조정(소상공인119plus)’ 프로그램을 3개월 이상 이행 중인 연 매출액 3억 원 이하 개인사업자가 대상이다.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