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최문기 미래부 장관 1년3개월 만에 물러나…최양희 교수로 교체

입력 2014-06-13 11:43 수정 2014-06-13 14: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양희 미래부 장관 내정자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1년 3개월만에 실각했다. 역대 장관 임기가 평균 2년이 안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보통 수준이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1기 내각 출범 당시 “장관들을 힘들게 선정한 만큼 자주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한 점을 고려하면 조기 퇴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13일 오전 7개 부처 장관을 교체하는 개각을 발표했다. 이 중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서울대 공대 교수로 재직 중인 최양희(58)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을 발탁했다.

이로써 박근헤 정부 들어 가장 주목받는 부처인 미래부 수장이 1여년 만에 변경됐다. 최 장관 교체설은 사실상 다가오는 박 대통령 해외 순방 수행원 명단에 빠지면서 일각에서는 기정 사실화하기도 했다.

최 장관은 지난해 초 발탁 당시만 해도 창조경제를 이끌 유망주였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3월14일 김종훈 후보자의 사퇴로 공석이 된 미래부 장관에 최문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를 내정했다.

경북 영덕 출신의 최 장관은 서울대 응용수학과를 졸업한 뒤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정보통신대학교 IT경영학부 교학처 처장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회장 등을 지냈다.

이 같은 경력을 기반으로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융합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박 대통령의 창조경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됐다. 또 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재직 당시 미래부가 강조하는 기술사업화 및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발탁 이후 미래부가 현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의 주무 부처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보이는 정책과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창조경제 개념 자체가 모호할 뿐 아니라 이를 구체화시킨 결과물이 나오지 않아 존재감을 부각시키지 못했다는 의미다. 게다가 학자 출신이라는 꼬리표가 오히려 정책 추진 과정에서 발목을 잡기도 했다.

한편 새롭게 내정된 최양희 교수는 앞으로 청문회 통과 이후 장관에 임명되면 산적해 있는 미래부 과제를 하나 둘 풀어가야 한다. 미래부가 제시한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추진 과제들 뿐 아니라 통신, 과학 등 관련 분야 정책들도 다듬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이브 뒤늦은 대처에…아미 근조화환·단월드 챌린지까지 [해시태그]
  • '선별적 대화'…의사협회 고립 심화 우려
  • K-치킨 이어 ‘K-식탁 왕좌’ 위한 베이스캠프…하림 푸드로드 [르포]
  • 삼성-LG, HVAC ‘대격돌’…누가 M&A로 판세 흔들까
  • 또래보다 작은 우리 아이, 저신장증? [튼튼 아이 성장③]
  • “이스라엘군, 라파 공격 앞두고 주민들에 대피령”
  • 20년 뒤 생산가능인구 1000만 명 감소…인구소멸 위기 가속화
  • '리버풀전 참패' 토트넘 챔스 복귀 물 건너갔나…빛바랜 손흥민 대기록 'PL 300경기 120골'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10: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9,396,000
    • -1.02%
    • 이더리움
    • 4,322,000
    • -2.35%
    • 비트코인 캐시
    • 667,000
    • +0.98%
    • 리플
    • 760
    • +2.01%
    • 솔라나
    • 216,400
    • +4.69%
    • 에이다
    • 638
    • -1.24%
    • 이오스
    • 1,149
    • -1.12%
    • 트론
    • 166
    • -2.92%
    • 스텔라루멘
    • 154
    • -1.9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600
    • -2.02%
    • 체인링크
    • 20,350
    • +0.2%
    • 샌드박스
    • 623
    • -2.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