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자] 美 고금리 장기화, 인플레가 관건

입력 2023-11-15 18: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작년 상반기 미국의 고금리 정책이 시작될 무렵에, 미국 경제전문가들은 경기 침체를 전망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러한 신호는 거의 없다. 지금의 논점은 경기 침체 대신에 연착륙 내지 경기둔화 시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우리는 지난 수십 년간 경험보다 더 높은 금리와 더 느린 경제 성장의 시대에 살고 있다.

부동산 업계는 고금리 장기화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미국 경기 침체가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있지만, 미국 경제는 여전히 강건하기만 하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미 연준이 금리 인상을 시작한 직후인 작년 4월에 미국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경기 침체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응답자 30%가 향후 1년 이내에 경기 침체를 전망했고, 같은 해 10월 조사에서는 63%까지 올라갔다. 하지만 올해 11월에 들어서까지, 미국 경기 침체 조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물론 충분히 긴 경기 호황기가 지나고 나면, 경제는 언젠가 둔화 내지는 불황기에 들어간다. 그러나 그 시점이 언제인지는 누구도 명확히 예측하기 힘들다.

연준, 목표물가 2% 될 때까지 안심못해

당분간 미국 경제는 현재까지의 양호한 여건을 고려하면, 경기둔화는 있겠지만 침체는 없을 것 같다. 고용시장은 2년 전부터 지금까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실업률도 올 1월과 4월에 1969년 이래 최저치인 3.4%를 기록했으며, 10월 현재 3.9%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미 노동통계국)하고 있다. 취업 시장에서도 올 9월 미국 비농업 부문 구인 건수 955만 건 대비 채용 건수는 587만 건으로 일손이 부족할 정도로 호황이다. 일반 가계의 소비도 견고한 편이다.

그럼에도 최근 몇 달 동안 미국 경제는 여러 측면에서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가계 저축률은 정상 수준보다 낮고, 소비자 저축은 대부분 고갈됐다. 학자금 대출 상환까지 재개되어 향후 소비자 지출이 줄어들 수가 있다.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의 2개 전쟁에 미국의 재정부담이 커지고, 유가가 상승할 수 있다. 은행의 대출기준 강화로 기업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 인플레는 작년 6월 9.1%라는 지난 20년 새 최고 기록에서 올 9월 3.7%로 내려왔지만, 여전히 3~4%를 머물고 있다.

그동안 충격에 둔감해진 미국 경제가 일단 둔화를 시작하면, 연착륙 성공이 어려울 수 있고, 심지어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걱정도 미국 내에서 나오고 있다.

미 연준은 인플레가 목표 2%대로 안정될 때까지, 고금리 정책을 지속할 걸로 보인다. 연준은 미국의 실질 GDP 증가율이 올해 2%, 내년 1.5%로 둔화, 2025년 1.8%, 2026년 1.85% 상승을 전망하고 있다. 반면, 경제계에서는 향후 1년 이내에 경기 둔화 혹은 침체를 전망한다. 이들은 고금리 지속은 소비와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결국 기업의 수입과 주식 시장 약화에 영향을 준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국 부동산 경기도 美 금리에 영향받아

미국에서는 경제 전망에 ‘연착륙’ 내지 ‘경기둔화’의 시점이 언제냐에 대한 논쟁이 한창이다. 고금리가 장기적으로 가면, 기업의 투자 부담, 생산성 감소, 부동산 침체 등으로 이어진다. 물론 그리되면 연준은 이자율을 내릴 것이고, 가계와 기업, 부동산 업계는 숨통이 트일 것이다. 하지만, 경기가 둔화 혹은 침체가 계속되고, 여기에 저출산과 이민 제한으로 인구 통계적 동력이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면, 이는 다시 부동산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경기는 미국의 금리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물론 누구도 정확한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다. 그래서 미 연준의 금리 정책과 미국 부동산 경기의 연결고리를 더욱 주목하게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하이브 뒤늦은 대처에…아미 근조화환·단월드 챌린지까지 [해시태그]
  • '선별적 대화'…의사협회 고립 심화 우려
  • K-치킨 이어 ‘K-식탁 왕좌’ 위한 베이스캠프…하림 푸드로드 [르포]
  • 삼성-LG, HVAC ‘대격돌’…누가 M&A로 판세 흔들까
  • 또래보다 작은 우리 아이, 저신장증? [튼튼 아이 성장③]
  • “이스라엘군, 라파 공격 앞두고 주민들에 대피령”
  • 20년 뒤 생산가능인구 1000만 명 감소…인구소멸 위기 가속화
  • '리버풀전 참패' 토트넘 챔스 복귀 물 건너갔나…빛바랜 손흥민 대기록 'PL 300경기 120골'
  • 오늘의 상승종목

  • 05.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9,011,000
    • -1.55%
    • 이더리움
    • 4,326,000
    • -2.41%
    • 비트코인 캐시
    • 669,000
    • +1.29%
    • 리플
    • 772
    • +3.21%
    • 솔라나
    • 213,900
    • +3.63%
    • 에이다
    • 646
    • -0.62%
    • 이오스
    • 1,173
    • +0.86%
    • 트론
    • 167
    • -1.76%
    • 스텔라루멘
    • 157
    • +0.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500
    • -1.42%
    • 체인링크
    • 20,550
    • +0.83%
    • 샌드박스
    • 632
    • -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