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지나치게 美化…청년 주거안정 서둘러야”

입력 2018-03-22 10: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회, 청년미래特委 정책 토론회

22일 열린 국회 청년미래특별위원회(이하 청년미래특위)에서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삶이 미화된 점을 지적하며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년미래특위는 이날 ‘제2차 청년정책 토론회’를 열고 각계각층의 청년 정책 관련 인사들을 초청해 이같이 논의했다.

황인국 한국청소년재단 이사장은 “1인 가구의 본질은 도외시하고 1인 가구를 ‘1코노미(1인+이코노미)’,혼밥족, 욜로(You Only Live Once, 인생은 한 번뿐이야) 세대 등으로 미화해 시장 트렌드에만 관심이 있다”면서 “1인 가구 중 30대 미만 청년 1인 가구의 소득은 177만 원으로, 다인 가구에 비해 22만 원 정도 월 소득이 적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황 이사장은 “청년 1인 가구는 가족관계로부터 이탈하거나 독립하려는 성향과 결혼 후 2세 출산에 대한 반감이 작용한다”며 “청년 1인 가구는 고용불안과 저소득 문제를 겪고 있어 결혼이나 가족성향에 대해 부정적이다”고 설명했다.

송보희 한국청년정책학회 학회장은 청년 주거 지원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10% 확대하고 빈집을 활용해 거주공유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송 학회장은 “2016년 기준 국내 전체 주택 수 대비 공공임대주택 수 비중은 6.8%(135만7701호)로, 2007년 5.1%(82만5487호)에 비해 1.7% 증가에 그쳤다”며 “공공임대주택의 전면적 확대를 통해 수요가 안정된다면 집값(임대료) 하락 효과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송 학회장은 “청년 구직자의 경우 길어지는 구직 기간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안전망을 설계해 줘야 한다”면서 “종전의 빈집과 미분양 주택을 활용해 거주공유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주거 안정망 구축에 소요되는 예산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역 격차와 불균형 해소를 위한 중앙정부의 청년 정책 도입이 필요하고, 청년종합정책을 위한 컨트롤타워와 거버넌스가 구축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또 청년이 인지할 수 있는 청년 정책 전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린이날·어버이날 선물로 주목…'지역사랑상품권', 인기 비결은? [이슈크래커]
  • '2024 어린이날' 가볼만한 곳…놀이공원·페스티벌·박물관 이벤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단독 금융권 PF 부실채권 1년 새 220% 폭증[부메랑된 부동산PF]
  • "하이브는 BTS 이용 증단하라"…단체 행동 나선 뿔난 아미 [포토로그]
  • "'밈코인 양성소'면 어때?" 잘나가는 솔라나 생태계…대중성·인프라 모두 잡는다 [블록렌즈]
  • 어린이날 연휴 날씨…야속한 비 예보
  • 2026학년도 대입 수시 비중 80%...“내신 비중↑, 정시 합격선 변동 생길수도”
  • 알몸김치·오줌맥주 이어 '수세미 월병' 유통…"중국산 먹거리 철저한 조사 필요"
  • 오늘의 상승종목

  • 05.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433,000
    • +4.88%
    • 이더리움
    • 4,312,000
    • +2.59%
    • 비트코인 캐시
    • 632,000
    • +5.69%
    • 리플
    • 740
    • +1.65%
    • 솔라나
    • 201,700
    • +4.67%
    • 에이다
    • 651
    • +1.72%
    • 이오스
    • 1,169
    • +4.19%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57
    • +1.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750
    • +4.57%
    • 체인링크
    • 19,600
    • +2.62%
    • 샌드박스
    • 630
    • +3.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