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17일(화)
△2025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2025년 경제통계 통합조사 실시
△통계청, 여름방학 실용 통계교육 교사 연수
△국가재무회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국가회계전문교육 실시
18일(수)
△청년의 삶, 지도로 보고 내일을 설계한다
19일(목)
△기재부 1차관 10:00 국무회의(대통령실)
△기재부 2차관 10:
정부가 지속해서 확산하는 무역기술장벽(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에 대응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 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등 수출기업 보호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1일 2025년 제2차 ‘무역기술장벽 대응 협의회’를 열고, 수출 기업이 직면한 주요 기술규제 현안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1~4월 기술규제 1664건…전년 대비 14.3% 증가美·中·EU 281건 달해…규제 분야도 다양해져정부, WTO 통해 인도 TV 수신기 규제 시행 6개월 유예 이끌어내
무역기술장벽(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이 1~4월 누적 1664건으로 급증하며 이 기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중국·유렵연합(EU) 등 주요 수출국
올해 1분기 무역기술장벽(TBT) 통보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수출기업의 현장 애로 해소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4일 ‘무역기술장벽 대응 기업 간담회’를 열고, 각국의 강화되는 기술규제에 따른 수출 리스크를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가전, 철강, 배터리, 자동차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국화학산업협회와 손을 잡았다. 양 기관은 기술규제 대응, 연구개발(R&D)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KTR은 22일 경기도 과천 본원에서 한국화학산업협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석유화학, 정밀화학,
◇기획재정부
21일(월)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실시(석간)
△통계청·UN WOMEN·UNSIAP 협력 초청연수 실시
△KDI FOCUS ‘건강보험 지출 증가 요인과 시사점’
△한국 기관‧인력 진출 확대 등 한국-녹색기후기금 협력 강화 방안 논의
△통계청-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인공지능(AI)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국표원, '1분기 무역기술장벽(TBT) 현황' 발표미국·EU·중국 등 3대 수출시장 규제, 20% 이상 크게 늘어정부 "기술규제 증가로 수출환경 악화…기업 TBT 애로 해소 총력"
1분기 무역기술장벽(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이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우리 수출 기업의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과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시험평가를 수행하는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정부의 정책 홍보와 국민소통 노력을 인정받았다.
KTL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정책 소통 유공'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정책 소통 유공은 매년 국정과제 및 국가 주요 정책 소통에 적극 기여한 유공자를 포상해 국민과의
정부가 기술규제로 막힌 수출길을 뚫어 우리 기업의 수출 환경을 개선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2025년 제1차 세계무역기구 무역기술장벽(WTO TBT) 위원회에 참석해 우리 기업의 수출을 가로막는 기술규제 해소를 위한 다자 및 양자 협의를 진행하고 규제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25일부터 28일까지 열린 이번
전 세계적으로 무역 장벽이 높아지는 가운데 올해 1~2월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 통보한 무역기술장벽(TBT·Technical Barrier to Trade) 건수가 858건에 달해 최근 5년 평균보다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 따르면 지난달 WTO 회원국이 통보한 TBT는 260건으로 1월 598건에 비해
수출기업의 대표 애로사항인 무역기술장벽을 허물기 위해 범부처가 힘을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9일 '제1차 무역기술장벽 대응 협의회'를 열고 관련 부처와 해외기술규제 현안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무역기술장벽이란 무역 상대국 간에 서로 다른 기술 규정과 표준, 적합성평가절차 등을 채택·적용해 상품의 자유로운 이
미국, 친환경 차량 관련 규제 등 78건 통보…전년 대비 2배 늘어정부 "산·학·연·관 협력 강화 및 기업 협력 구축 적극 대응"
연초부터 세계 각국의 기술규제가 쏟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은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기술규제 건수가 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역기술장벽(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을 세웠다.
9일 산업통상자원
WTO 회원국 통보 기술규제 직전 최고치인 2023년보다 6% 늘어정부 "중국과 미국 등 주요 교역국 중심 기술규제 통보 늘어…산·학·연·관 합동 대응"
지난해 무역기술장벽(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 우리 수출 기업의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우리 주요 교역국을 중심으로 많은 기술규제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12~14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제25차 아시아인증기관협의회(ANF·Asia Network Forum) 총회'에 의장국 및 회원국 자격으로 참석해 성황리에 총회를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2000년에 설립된 ANF는 아시아 시험인증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시험인증 상호인정 촉진, 수출기업 지원, 역내 교역 활성화 등을 위해
美, 보호무역 강화 전망리쇼어링·무역장벽 대비 입법 필요성
‘트럼프 2기’ 출범으로 미국의 자국 중심주의와 보호무역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와 국회의 대응력 강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미국의 리쇼어링(reshoring·해외 생산시설의 자국 복귀)·무역장벽 강화 기조에 대비할 입법에도 관심이 쏠린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
'중국 기술규제 동향 및 사후관리 대응 세미나' 개최기술규제 동향 및 인증·사후관리와 전문가 컨설팅 등 맞춤형 지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대(對) 중국 수출기업의 애로해소를 위해 중국의 기술규제 전문가를 초빙해 중국의 기술규제 동향을 확인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KTL은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중국 수출기업들의 애로 해소를 위해 중국 CCC(중국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