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현대차∙기아, 미국 25% 관세에도 수익성 방어 가능…신용등급 유지 여력”

입력 2025-04-15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차그룹 양재 사옥.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 양재 사옥. (사진=현대차그룹)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글로벌은 15일 '한국 완성차, 미국발 자동차 관세에도 일정 수준의 대응 여력 확보''라는 보고서를 통해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의 수입 자동차 25% 관세부과에도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익성과 미국 판매를 바탕으로 적절히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제열 S&P 이사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는 현대차∙기아의 수익성과 신용등급 유지 여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그 근거로 "미국은 2024년 양사 합산 글로벌 판매량의 약 26%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라고 짚었다.

미국 정부는 이달 3일부터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자동차 부품은 5월 3일부터 동일한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준수하는 차량과 부품은 당분간 부분적인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60% 이상을 한국과 멕시코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에 고관세 환경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미국 현지로의 생산거점 전환 또한 가속화될 수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최근 조지아주에 신규 공장을 개소하는 등 현지 생산량 확대 계획을 통해 관세 충격 완화에 힘쓰고 있다.

김 이사는 “현대차∙기아의 우수한 수익성과 견조한 재무지표를 고려할 때, 일정 수준의 신용등급 유지 여력은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관세 부담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익성의 하락 폭은 미국의 관세 정책, 경쟁업체들의 전략,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미국발 자동차 관세의 지속 여부와 현대차그룹이 얼마나 신속하게 생산거점을 미국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도 수익성 방어에 중요한 요인이다.

S&P가 평가 중인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신용등급은 'A-'다. 지난해 S&P가 등급을 상향하면서 현대차와 기아는 글로벌 3대 신용평가기관 모두로부터 A등급을 받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54,000
    • +2.45%
    • 이더리움
    • 2,329,000
    • +2.6%
    • 비트코인 캐시
    • 487,200
    • +0.87%
    • 리플
    • 3,037
    • +2.71%
    • 솔라나
    • 199,600
    • +1.27%
    • 에이다
    • 917
    • +3.38%
    • 이오스
    • 927
    • +2.54%
    • 트론
    • 348
    • -1.97%
    • 스텔라루멘
    • 369
    • +5.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30
    • +1.58%
    • 체인링크
    • 19,270
    • +3.27%
    • 샌드박스
    • 401
    • +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