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은 인터넷뱅킹을 통해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 제도’를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 제도는 비대면 거래 과정에서 발생한 금융사기에 대해 은행과 고객 간 책임을 합리적으로 산정하고, 고객의 피해 보상을 지원하는 제도다. 이번에 신청 채널을 인터넷뱅킹으로 확대한 것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순익 1조6973억 기록…전년 동기대비 62%↑JB금융 당기순익 5.2% 감소…CET1 개선
KB금융지주가 올해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인 1조7000억 원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예대마진 등 영업 환경이 비슷한 만큼 25일로 예정된 주요 금융지주도 호실적 행진이 이어질 전망이다. 반면 지방 금융지주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KB금융
KB금융그룹 24일 1분기 당기순이익이 1조6973억 원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규모로 1분기 기준 '역대 최대'다. 보험 등 비은행 계열사 이익이 확대된데 따른 것이다. KB금융은 이같은 호실적을 바탕으로 주당 912원의 현금배당과 3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도 결의했다.
KB금융은 24일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중국의 대표적인 기술 기업과 국내 채권에 동시 투자하는 ‘한국투자차이나빅테크와AI주도주목표전환’ 펀드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펀드는 29일까지 KB국민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다.
한국투자차이나빅테크와AI주도주목표전환 펀드는 중국 대표 빅테크&인공지능(AI) 기업 주식에 40% 이내로 투자하고, 국내 채권에 60% 이상 투자해
KB국민은행은 삼성금융네트웍스의 통합 금융 플랫폼인 모니모와 협업해 ‘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을 정식 출시하고, 일반 고객 대상 판매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은 모니모 앱에서만 개설 가능한 수시입출금통장으로, 지난 2024년 9월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바 있다. 일 잔액 200만 원까지 최대 연 4.0
한은, 21일 ‘2024년도 지급결제보고서’ 발표한국거래소 운영 장내증권 등 정기평가 등 내용 담아“한국거래소, 신용·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 시나리오 도입 검토”
한국은행은 지난해 한국거래소를 대상으로 정기평가를 실시한 결과 유동성리스크 등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개선을 권고했다.
한은은 21일 ‘2024년도 지급결제보고서’를 통해 한국거래소가 운
KB국민은행은 전체 시중은행 퇴직연금 사업자 중 DC형과 개인형IRP의 원리금비보장상품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의 2025년 1분기 말 기준 퇴직연금 수익률 공시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DC형과 개인형IRP의 원리금비보장상품 최근 1년 수익률이 각각 3.57%와 4.01%를 기록했다. 개인형IRP 적립금은 2025년
KB국민은행에서 22억 원 규모의 업무상 배임 사건이 발생했다.
국민은행은 홈페이지 공시를 통해 내부 직원의 업무상 배임에 의해 21억 8902만 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해당 사고는 국민은행 측 자체조사를 통해 발견됐으며 손실예상금액은 미정이다. 국민은행은 사건 인지 후 관련 직원을 대기발령 조치하는 한편 형사 고소할 예정이다
공공기관의 비위행위를 줄이기 위해선 기존의 사후처벌 중심 대응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민경선 전북대 교수는 17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2회 금융범죄예방을 위한 정책세미나’에서 인공지능(AI) 기반의 예측모델을 활용한 내부통제 체계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 교수는 “우리나라 공공기관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
한국예탁결제원이 2018년부터 추진해온 ‘실기주과실 찾아주기 캠페인’을 올해도 이어나간다.
16일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원)에 따르면 이달 말 기준 실기주 과실 주식은 202만 주, 대금은 약 420억 원에 달한다.
‘실기주’란 투자자들이 증권회사로부터 실물주식을 찾아간 후 본인의 이름으로 명의개서를 하지 않은 주식을 말한다. 배당금, 배당주식,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230조 육박‘실물이전’ 제도 시행에도 여전히 강세
퇴직연금 '쩐의 전쟁'에서 올해 1분기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이 각각 적립액, 수익률 부문에 두각을 보였다. 국내 은행의 퇴직연금 규모는 230조 원에 육박했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분기 기준 국내 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228조9986억 원으로 전 분기(225조76
코픽스 6개월 연속 내림세…2020년 이후 최장기록KB국민ㆍ우리 등 변동형 주담대 금리 0.13%p 하락
은행권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산정 지표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반년째 내림세다. 주요 시중은행의 연동 대출금리가 코픽스 하락 폭만큼 내려가면 차주의 이자 상환 부담이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신
5대 은행, 예금 금리 연 2.15~2.75%…초단기 예금은 1%대
시중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잇달아 낮추면서 '금리 1%대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 낮은 금리 탓에 예금에서 시중 자금이 빠르게 빠져나가고 있는 가운데,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부동자금으로 떠돌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5대 은행(KB국
14억 인구 인도 시장 진출연내 뭄바이에 현지 사무소 설립현지 진출 전초기지 역할뉴욕, 홍콩, 베트남 등에 이어 6번째 진출국
KB증권이 인도 자본시장 진출에 나선다. 연내 뭄바이에 사무소를 설립하고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밑 작업에 착수했다.
15일, KB증권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시장 진출 확대 전략의 하나로 연내 인도 뭄바이에 현지 사무소를 개설
은행 참여 민관 TF 구성 매입금리 등 논의지난해 4분기 출시서 '올해 상반기'로 늦춰져연내 '스왑뱅크' 설립 추진도 어려워 "제도 정비 서둘러 은행 참여 유도해야"
금융당국이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 확대를 위해 추진 중인 '커버드본드 재유동화증권 서비스'가 올해 상반기 본격화한다.
1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민간 커버드본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KB국민은행과 1조 원 규모 금융 파트너십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항공우주 분야 미래 사업 투자 지원 △완제기 수주를 위한 수출금융 참여 △수출입ㆍ시설투자 등 KAI 운영 자금 대출 지원 △KAI 상생협력업체 대상 동반성장 금융 지원 △KAI 임직원 대상 금융 서비스 제공 등이다.
KB국민은행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와 ‘상생협력 및 공동발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KB국민은행은 KAI에 최대 1조 원을 지원한다. 이 자금은 △미래사업 투자지원 △수출금융 △수출입 및 시설투자 관련 운영자금 대출 등 KAI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
이환주 행장은
부동산 경기 부진·코로나19 여파로동남아 3국 부실 대출 규모 커질 듯“현지 진출 국내 은행 건전성 관리”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의 부실 대출 규모가 급증하면서 해당 국가에 진출한 국내 은행이 자산건전성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1일 하나금융연구소가 발간한 ‘동남아 주요국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10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151.36포인트(6.60%) 오른 2445.06을 나타내고 있다.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38.40포인트(5.97%) 오른 681.79에 거래를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주간 거래 종가(15시30분) 기준 전일 대비 27.7원 내린 1456.4원을 기록했다. 고이란 기자
4대 은행 외국인고객 578만 명2022년 말 대비 55만 명 늘어신한, 3분기 신용대출 상품 출시하나, 특화 금융 브랜드 출범 앞둬
'외국인 고객 확대'는 올해 은행들이 내세운 미래성장 전략에서 빠지지 않는 과제 중 하나다. 전담조직을 운영하며 전용 상품, 서비스 출시 준비에 한창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고객솔루션부 내 외국인고객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