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ㆍ외식업계 “환율ㆍ배달수수료 부담 등 헤아려달라” 정부에 요청

입력 2025-06-13 17: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3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주재 밥상 물가 간담회 개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4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연수원에 마련된 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서 식품·외식업 협회와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밥상물가 안정을 위한 경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4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연수원에 마련된 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서 식품·외식업 협회와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밥상물가 안정을 위한 경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식품·외식업계가 13일 열린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만나 그간 가공식품 가격 인상 배경에 대해 설명하며 새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김 후보자가 주재한 '밥상 물가안정 경청 간담회'에 참석했다. 김 후보자는 이 자리에서 “시장 가격에 (정부가) 직접 개입하는 건 지양해야 한다”면서도 “유통 과정이 불분명하거나 불투명한 품목들에 대해서는 거래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더불어민주당 위성곤·민병덕 의원과 문미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장, 전계순 한국소비자교육원장, 김명철 한국식품산업협회 부회장, 윤홍근 한국외식산업협회장 등 업계 관계자, 정부 및 학계·전문가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김 후보자는 "거래 불투명성을 이유로 국민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방식은 우리 사회와 시장의 합리화 방향에서 고쳐가야 한다"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기업을 포함한 제3섹터가 어떻게 협력할 것인가에 대해 처음부터 고민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김명철 한국식품산업협회 부회장은 "식품기업의 가격 인상은 원자재 가격 인상, 환율 폭등 등 경제 여건 악화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대해 동참해 가격 인상을 최대한 자제해왔다"며 "저율관세할당(TRQ)으로 수입하는 대두 등 일부 원재료의 수급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할당관세 품목과 적용 기간을 늘려달라"고 건의했다.

윤홍근 한국외식산업협회 회장은 이 자리에서 "외식업종은 인건비와 배달 중개 수수료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면서 "상황을 헤아려 달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성을 밝혔다. 윤 회장은 그러면서 "가맹점주들의 수익 악화 주요 요인으로 배달 중개 수수료 부담"이라며 "공공 배달앱 지원 적극 확대 등 강력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에 김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의 배달앱 수수료 자율규제는 실패했다"고 평가한 뒤 "중개 수수료 적정선을 어떻게 할 것인지 입법을 포함한 고민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며 "정부도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의회에서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여 주면 어떨까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이밖에도 먹거리 물가의 경우 복합적 요인으로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은 만큼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인 분석 강화 등을 업계에 제안하기도 했다. 또한 식품 원료 수급 상황에 대한 정부의 점검 및 관리 필요성도 강조했다.

한편 이번 간담회는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비상경제점검TF 회의에서 라면 개당 가격 2000원대 가격 이슈를 거론한 직후 개최됐다. 업계에서는 개당 2000원 대 라면은 고가의 프리미엄 라면이나 소수의 고객이 찾는 특색이 강한 제품으로, 대부분의 라면은 개당 1000원 안팎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실제 시중에 유통되는 라면 중 2000원대 가격의 라면은 △푸팟퐁구리 큰사발(농심) △열치즈라면 대컵(오뚜기) △탱글(삼양식품) △더미식 장인라면(하림) 등 손에 꼽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파죽지세’ 비트코인, 12만3000달러도 넘어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단독 100만명 돌파한 ‘GS25 도어투 성수’, 2년 8개월 만에 ‘폐점’
  • 유통가, 15일 자정 ‘갤럭시 Z 플립7ㆍ폴드7’ 일제히 사전예약...어디서 사야 최대 혜택?
  • 이 대통령, 반려견 '바비' 소개…"자꾸 아내한테만 가서 서운"
  • "눈 떠보니 내가 여주인공?!"…요즘 공연 영화, 이렇게 변신했다 [엔터로그]
  • 자영업자 10명 중 3명은 최저임금도 못 번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4,630,000
    • +2.85%
    • 이더리움
    • 4,153,000
    • +3.33%
    • 비트코인 캐시
    • 696,000
    • +1.75%
    • 리플
    • 4,053
    • +7.19%
    • 솔라나
    • 226,200
    • +2.82%
    • 에이다
    • 1,014
    • +2.63%
    • 트론
    • 411
    • +0%
    • 스텔라루멘
    • 615
    • +6.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290
    • +1.82%
    • 체인링크
    • 22,030
    • +5.61%
    • 샌드박스
    • 433
    • +8.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