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후 2주 이내에 의약품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발표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의약품 제조 촉진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밝힌 내용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월에도 의약품 관세와 관련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난달 2일 한국 상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을 당시 의약품은 대상에서 제외됐었으나 상황이 급변했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에서 나오는 말 하나 하나에 집중할 수 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들은 의약품이 관세 부과 대상이 될지, 어떤 품목에 어느 수준의 세율이 적용될지 알 수 없어 답답함만 토로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정책 추진 배경엔 미국 내 생산 촉진이 있다. 이에 글로벌 빅파마들은 미국에 대한 투자 확대를 연이어 발표했다. 미국 내 의약품 생산시설 확대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해 대다수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혼자 힘으로 감당하기 어렵다.
관련 뉴스
셀트리온처럼 선제적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한 기업도 있으나, 대다수 회사는 관세 부과 정책을 꼼꼼히 살피는 것 이상의 대책 마련이 쉽지 않다.
결국 정부와 업계가 팔을 걷었다. 우리 정부는 미국 측에 한국산 의약품 수입이 미국의 공급망 안정과 환자 접근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한국바이오협회도 무역제한 조치를 자제해달라고 공식으로 요청했다.
다만 업계는 대선 정국에 돌입한 국내 상황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세부적인 대응책 마련에도 한계가 있다고 토로한다. 그럼에도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신약개발과 해외진출 확대 등 본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정부와 산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다.
코로나19에 경험했듯이 제약바이오산업과 백신과 치료제 등 의약품은 국가 생명과 안보에도 직결된다. 특히 차세대 먹거리로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는 K-제약·바이오의 경쟁력이 후퇴하지 않도록 해야할 중요한 때다.
21대 대통령 선거운동이 시작됐다. 선거 후 출범할 새 정부는 대한민국이 K-제약·바이오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꼼꼼하고 중장기적인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을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