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면세점, 2분기부터 다이궁 매출 비중 축소신라·현대면세점도 다이궁 의존도 줄이기 속도3분기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허용에 기대감↑
면세업계가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중국인 보따리상(代工ㆍ따이궁) 의존도를 줄이고 있다. 업계는 따이궁의 의존도를 지속 줄이는 한편 올 3분기부터 시행되는 중국인 단체관광객((游客ㆍ유커)의 무비자 입국에 따른 소비 수요
신라면세점이 중국여유그룹과 협력해 중국 무비자 단체관광객 적극 유치에 나선다.
신라면세점은 19일 서울시 중구 장충동 신라면세점 서울점에서 중국여유그룹 경영진을 만나 글로벌 면세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및 교류 확대를 논의한다고 18일 밝혔다. 중국여유그룹은 23일에도 신라면세점 제주점을 찾을 예정이다.
중국여유그룹 경영진은 신라면세점 서울점을 답사하고
신라ㆍ신세계, 객단가 높은 비즈니스 단체 공략주가도 훈풍⋯“면세업계 긍정적 영향 기대”
이재명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11월 경주 APEC 정상 회의에 초청하는 등 '대중(對中) 해빙 무드'가 조성되면서 면세점업계도 모처럼 활기가 돌고 있다. 여기다 3분기부터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이 국내 면세 시장의 침체를 바꿀 중대 전환점이
“면세점 인기 품목은?...내국인은 위스키, 외국인은 K푸드”
신세계면세점은 5월 황금연휴 기간(4월 30일~5월 6일) 동안 7개국 개별 관광객의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내국인은 고급 주류에 집중하고 외국인은 K푸드 소비가 두드러졌다고 16일 밝혔다.
중국인은 마스크팩을 가장 많이 구매했으며, 스팸과 딸기 초콜릿, 허니버터아몬드가 뒤를 이었다
롯데면세점은 호텔롯데 사업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 면세사업부 매출 6369억 원, 영업이익 153억 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2023년 2분기(58억 원) 이래 첫 분기 흑자다.
수익성을 강화한 건 거래 규모가 큰 중국인 보따리상(따이궁) 판매 비중을 낮춰 판매관리비를 절감한
카지노-호텔업계 "상황 지켜보는 중...시행 시 실적 개선에 도움" 면세점도 마케팅 부문 신설-럭셔리 라인업 강화 등 내부 채비
정부가 올해 3분기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국내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하는 정책을 추진 중인 가운데 국내 카지노와 호텔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대선정국인 데다 현재 논의 중인 사안인
관광 트렌드 개별 관광객 위주로 변화외국어 능통 직원ㆍ특화 굿즈 등 준비비싼 물가는 걸림돌…‘폭싹 효과’ 기대도
국내 대표 관광지 제주가 새봄이 찾아오면서 관광 부흥을 위한 기지개를 켜고 있다. 제주도는 4월을 관광 회복의 ‘골든 타임’으로 보고 관광 혁신의 닻을 올렸다. 그 중에서도 외국인들의 한국인 방문 필수 코스인 CJ올리브영(올리브영)과 제주 특화
MZ세대 중심 개별여행이 ‘대세’온라인 채널 중심 제주 관광 홍보지역상권서 알리페이 등 확대도 추진
엔데믹에도 소비 양극화와 엔저 현상으로 내국인의 외면을 받아온 제주도가 새로운 관광 마케팅 전략을 짜고 있다. K팝과 K-드라마 등 한류에 반한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이 매년 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단체 관광객 위주로 선보인 관광 콘텐츠를 다양화해 개인
일본 사후 면세점 운영 전문기업 JTC는 회계연도(FY)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상장 이래 최고 실적인 257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JTC는 15일 공시를 통해 FY2024년 실적을 발표했다. 연결 기준 매출액은 3088억 원, 영업이익은 25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6%, 18% 상승했다. 4분기에 시행한 상품평가
경기 침체·고환율에…면세점 경쟁력 훼손3분기 中 단체관광객 한시적 비자 면제 추진면세산업·여행산업 위해 한·중 상호무비자 제언도
정부가 올해 3분기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游客ㆍ유커)에 대해 한시적 비자 면제를 추진하면서 국내 면세점업계가 큰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엔데믹에도 경기 침체·고환율 영향으로 경쟁력이 크게 악화한 면세점업계는 올 하반기 유
롯데면세점이 이달 5000여 명의 외국인 단체 관광객을 유치하며 경영 정상화에 청신호를 켰다.
롯데면세점은 3일과 5일 이틀에 걸쳐 대만 암웨이그룹 임직원 1200여 명이 롯데면세점을 방문했다고 6일 밝혔다.
롯데면세점은 대만 암웨이그룹 임직원의 방문을 환영하는 플래카드와 여행용 파우치 세트 6종을 선물로 준비했다. 특히 이들은 면세점에서 논픽션, 탬버
국내 면세업계 4사(롯데·신라·신세계·현대면세점)가 작년 줄줄이 영업손실을 내며 사실상 역대 최악의 실적을 받아 들었다.
13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신라면세점의 지난해 매출액은 3조281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9% 증가했다. 다만 신라면세점은 697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전환 했다. 신라면세점 연간 기준 영업손실을 기록한 건 2020년 이후
‘데칼코마니’ 연상…동·서편으로 이어진 면세점서편엔 신세계존 완성…패션·뷰티 ‘원스톱 쇼핑’동편엔 신라면세점 둥지…신세계 와인존도 눈길
면세업 부진이 계속 되는 가운데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이 지난달 말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출국장 면세점을 정식 오픈, 불황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 양사는 특화존 등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한편
‘유커·따이궁’ 타깃 시내면세점 잇달아 축소개별관광객 공략에도 객단가 차이 ‘역부족’
국내 주요 면세점이 몸집 줄이기에 나섰다. 유커(遊客·중국인 단체관광객), 따이궁(代工·보따리상)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면세업계 불황이 장기화하자, 이들에 역점을 뒀던 시내면세점부터 정리하기로 한 것이다. 내년에도 면세업 불황은 이어질 전망이라, 시내면세점 중심의 구조
면세점 4사, 재고 2.3조...팬데믹 수준1인당 면세점 구매액, 1년 새 22% 감소엔데믹에도 면세업계 불황 여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재고 처리를 위해 한시 운영한 재고 면세품 내수판매 채널이 국내 면세점업계에서 사라진다. 다만 국내 면세점 4사의 재고 자산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각 사는 핵심 사업장의 경쟁력 강화 등 본업 회복을 위한 자구책
여행 수요 회복에도 올해 상반기 1인당 면세점 구매액은 50만 원대로 코로나19 엔데믹(endemic·풍토병화된 감염병) 원년인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면세점 매출액은 7조3969억6000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조5118억9000만 원)보다 13.6% 늘었다.
같은 기간 구매객 수가 949만70
백화점 사업 매출 역대 2분기 최대...하우스오브신세계 등 대체불가 콘텐츠 효과신세계라이브쇼핑·까사 등 자회사 영업익↑...인천공항 면세점 임대료 할인 줄어 적자
신세계가 소비 심리 위축 등 어려운 유통 환경에서도 2분기 호실적을 거뒀다. 특히 백화점 사업은 역대 2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새로 썼고, 자회사인 신세계라이브쇼핑과 신세계까사의 손익도 개선됐
6일 유진투자증권은 팬데믹 이후 중국의 해외여행이 정상화하는 과정에 있으며, 개별 관광객 증가와 소비 패턴 변화 등에 따라 중국 인바운드 관련 소비주로 음식료,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날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리오프닝 1년만인 올해 중국 내 이동인 2019년 수준을 넘어섰다. 올해 중국 여행객 수는 60억 명에 달할 전망이다.
최다 충전 권종은 3일권…명동·홍대 사용 많아1일(5000원)·5일(1만5000원) 등 총 5종 구성
서울을 찾는 관광객을 위해 새롭게 도입된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이 출시 한 달 만에 4만 3000장이 팔리며 인기를 얻고 있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7월부터 본 사업이 시작되면서 총 5종으로 출시된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이 한 달간 4만3000장 팔린 것
GS리테일의 분할신설예정법인인 파르나스홀딩스(가칭)가 상장 예심을 통과한 가운데 파르나스호텔은 이번 인적분할 결정이 GS그룹의 미래 사업 투자 차원이라고 평가했다.
5일 파르나스호텔에 따르면 작년 영업이익 1032억원을 달성하며 국내 호텔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GS리테일 전체 영업이익의 25%를 차지하며 추가 성장 잠재력을 증명했다.
파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