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독직폭행 무죄’ 정진웅 검사, ‘정직 2개월’ 징계 취소소송 2심도 승소

입력 2025-06-25 14: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고법 “피고의 항소 기각”⋯원고 승소 1심 판결 유지
법무부, 지난해 2월 ‘직무상 의무 위반’ 이유로 징계 처분

▲정진웅웅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이 2022년 7월 2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한동훈 독직폭행' 혐의와 관련 항소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정진웅웅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이 2022년 7월 2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한동훈 독직폭행' 혐의와 관련 항소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독직폭행(공무원이 지위나 직무를 남용해 폭행)한 혐의로 기소됐다가 무죄를 확정받은 정진웅 대전고검 검사가 법무부 징계 처분은 부당하다며 제기한 행정 소송 2심에서도 승소했다.

서울고법 행정11-3부(김우수 최수환 윤종구 부장판사)는 25일 오후 정 검사가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제기한 징계처분 취소 소송 항소심 선고기일을 열고 1심과 같이 원고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항소 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고 밝혔다.

정 검사는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 부장검사였던 2020년 7월 당시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이던 한 전 대표의 휴대전화 유심칩을 압수하는 과정에서 그를 폭행한 혐의로 기소됐다. 한 전 대표는 채널A 기자 강요미수 사건에 연루돼 검찰 수사를 받고 있었다.

검찰은 정 검사를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독직폭행 혐의로 2020년 10월 재판에 넘겼다. 1심은 징역 4개월에 집행유예 1년, 자격정지 1년을 선고했고 2심은 폭행의 고의가 없었다며 무죄 판단을 내렸다. 2022년 11월 대법원은 정 검사에게 무죄 판결을 확정했다.

대검찰청은 정 검사가 무죄를 받았더라도 그가 직무상의 의무를 위반하는 등 징계 사유가 있다며 2023년 5월 법무부에 검사 징계를 요청했다. 지난해 2월 법무부는 정 검사에게 검사징계법상 ‘직무상 의무 위반’과 ‘품위 손상’을 이유로 정직 2개월 처분을 내렸다.

당시 법무부는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인권보호수사규칙 등을 준수해야 할 직무상 의무를 위반했다”며 “마치 압수수색 방해 행위를 제지하다가 상해를 입은 것처럼 병원에 누워 수액을 맞는 사진과 입장문을 배포하는 등 품위를 손상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884,000
    • +1.76%
    • 이더리움
    • 3,757,000
    • +5.8%
    • 비트코인 캐시
    • 695,000
    • +1.98%
    • 리플
    • 3,275
    • +4.37%
    • 솔라나
    • 213,700
    • +3.79%
    • 에이다
    • 845
    • +5.63%
    • 트론
    • 392
    • +0%
    • 스텔라루멘
    • 390
    • +11.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430
    • +1.44%
    • 체인링크
    • 19,370
    • +2.22%
    • 샌드박스
    • 365
    • +7.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