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상임위원장 배분 이견 못 좁혀…與 “이번 주까지 본회의 열어야”

입력 2025-06-23 16: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 구성 협상 등을 위한 여야 원내수석 회동을 위해 운영위원회 소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진석(왼쪽)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 구성 협상 등을 위한 여야 원내수석 회동을 위해 운영위원회 소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여야가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만나 원 구성 협상을 진행했으나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3시부터 약 45분간 진행된 네 번째 회동에서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민주당은 법사위원장을 포함한 상임위원장 배분은 1년 전 합의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정권이 바뀐 상황에서 민주당이 법사위원장, 예결위원장, 운영위원장을 모두 차지하는 것은 일당독재라며 법사위원장 양보를 거듭 요구했다.

문진석 수석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는 더 이상 논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지난 1년 전에 1기 원내지도부가 약속했던 걸 지키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정세도 어렵고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이 큰 상황에서 여야가 힘을 합쳐 빨리 본회의를 열어 추경안 통과 등을 해야 한다"며 "상임위 배분 문제로 계속 시간을 지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문 수석은 또 "임시국회가 7월 4일에 끝나는데 그때까지 추경안을 통과시키려면 이번 주까지는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며 "시간을 무한정 끌 수 없기 때문에 본회의를 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유상범 수석은 "민주당의 입장은 야당에 대한 신뢰가 없고 어느 것도 양보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김병기 원내대표가 협치를 한다고 강조하지만 실제 협상 과정에서는 한 치 양보 없이 본인들이 갖고 있던 것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190석의 거대여당으로서 법사위원장, 예결위원장, 운영위원장을 민주당이 모두 갖고 간다는 것은 결국 이재명 민주당의 일당독재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말과 다름없다"며 "앞으로 민주당이 이와 같은 일방 독주를 계속하면 다수당 폭정에 의한 독재 모습으로 흘러갈 것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양당 원내대표단은 24일 오전 11시 국회의장 주재로 상견례를 가질 예정이다. 문 수석은 "의장님이 주재해서 일정 관련해서 논의를 하실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수석은 "양당 새 원내지도부가 구성됐는데 아직 국회의장과 상견례가 없었다"며 "상견례를 가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디저트부터 케이팝까지… 신세계명동, K컬처 성지로
  • 코레일, 오전 9시부터 열차 운행 재개⋯교외선은 복구ㆍ점검 후 재개
  • LG유플러스, AWS 손잡고 AI ‘익시젠’ 글로벌 시장 도전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여름철에 돌아온 액션 추리 프랜차이즈…'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시네마천국]
  • 李정부, 법인·대주주 '尹부자감세' 전면 복원...법인세 원상 복구할 듯
  • 1인당 15만~45만 원 소비쿠폰, 월요일 9시 신청 시작
  • 59㎡ 아파트가 40억대…소형아파트 매매가 또 경신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618,000
    • -0.2%
    • 이더리움
    • 4,999,000
    • +1.65%
    • 비트코인 캐시
    • 719,000
    • +1.77%
    • 리플
    • 4,683
    • -0.91%
    • 솔라나
    • 243,800
    • +0.25%
    • 에이다
    • 1,145
    • +0.79%
    • 트론
    • 437
    • -1.8%
    • 스텔라루멘
    • 633
    • -0.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20
    • +2.4%
    • 체인링크
    • 25,500
    • +2.91%
    • 샌드박스
    • 453
    • +0.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