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대출·개인사업자 부실 확대…잠재 리스크 누적
경기 둔화·글로벌 불확실성 속 리스크 관리 중요성 부각

16일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은행권 건전성 점검 및 관리 강화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2022년 9월 말 0.38%에서 지난해 0.53%로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국내 은행이 2018년 이후 가장 많은 19조5000억 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했음에도 부실채권비율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부실채권비율은 기업 여신과 중소기업 여신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65%, 중소기업여신 부실 채권비율은 0.78%에 달한다.
원화 대출 연체율도 증가세다. 올해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이 0.58%, 기업 여신 연체율은 0.68%로 모두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소기업 여신 연체율은 0.84%로 7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관련 뉴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문제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2023년 말 2.7%였던 PF 대출 연체율은 2024년 말 3.4%로 상승했다. 이는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와 신규 부실 증가의 결과로 분석된다. 여기에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도 2021년 말 0.43%에서 2024년 말 1.76%까지 상승하며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은행 통계를 인용해 국내 한계기업 비중이 2019년 14.8%에서 2023년 16.4%로 증가했다고 했다. 이로 인해 금융권 전반에 잠재적 부실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은행의 건전성을 회복하려면 경기 개선이나 금리 인하를 통한 기업 이자 부담 완화가 필요하지만 당분간 실현 가능성은 작다는 전망이다. 금융연구원을 비롯한 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0~2.0%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고강도 관세부과 정책으로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악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병윤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국내은행의 건전성이 점차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PF 대출 부실 등 시장 여건도 녹록지 않다”며 “경제성장률 둔화와 글로벌 불확실성까지 겹친 상황에서 은행권은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