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 건전성에 '경고등'…부실채권·연체율 상승세 지속

입력 2025-05-16 11: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실채권·연체율 동반 상승…중소기업 대출 취약
PF 대출·개인사업자 부실 확대…잠재 리스크 누적
경기 둔화·글로벌 불확실성 속 리스크 관리 중요성 부각

(자료제공=한국금융연구)
(자료제공=한국금융연구)
한계기업 증가와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로 국내은행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건전성 악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은행권의 리스크 관리 강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은행권 건전성 점검 및 관리 강화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2022년 9월 말 0.38%에서 지난해 0.53%로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국내 은행이 2018년 이후 가장 많은 19조5000억 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했음에도 부실채권비율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부실채권비율은 기업 여신과 중소기업 여신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65%, 중소기업여신 부실 채권비율은 0.78%에 달한다.

원화 대출 연체율도 증가세다. 올해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이 0.58%, 기업 여신 연체율은 0.68%로 모두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소기업 여신 연체율은 0.84%로 7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문제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2023년 말 2.7%였던 PF 대출 연체율은 2024년 말 3.4%로 상승했다. 이는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와 신규 부실 증가의 결과로 분석된다. 여기에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도 2021년 말 0.43%에서 2024년 말 1.76%까지 상승하며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은행 통계를 인용해 국내 한계기업 비중이 2019년 14.8%에서 2023년 16.4%로 증가했다고 했다. 이로 인해 금융권 전반에 잠재적 부실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은행의 건전성을 회복하려면 경기 개선이나 금리 인하를 통한 기업 이자 부담 완화가 필요하지만 당분간 실현 가능성은 작다는 전망이다. 금융연구원을 비롯한 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0~2.0%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고강도 관세부과 정책으로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악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병윤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국내은행의 건전성이 점차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PF 대출 부실 등 시장 여건도 녹록지 않다”며 “경제성장률 둔화와 글로벌 불확실성까지 겹친 상황에서 은행권은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장중 3000선 돌파…3년 6개월만
  • '아이돌의 아이돌' 빅뱅, 어떤 차 몰까…개성 넘치는 이들의 콜렉션 [셀럽의카]
  • 제2차 세계대전에 등장했던 ‘강철비’…이란이 쏜 집속탄이란?
  • ‘내란 특검보’ 김형수·박억수·박지영·박태호·이윤제·장우성
  • "농어를 고아 먹으면 굽은 등도 펴진다?" [레저로그인]
  • [날씨] 전국 장마 시작…강풍 동반해 시간당 최대 50㎜ 쏟아져
  • 티몬, 오늘 운명의 날…오아시스 품에 안기나
  • ‘서울대 10개 만들기’ 입시 병목 해법 되나…“재정마련 시급”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⑩·끝]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08,000
    • -0.1%
    • 이더리움
    • 3,373,000
    • -2.57%
    • 비트코인 캐시
    • 658,500
    • -2.88%
    • 리플
    • 2,951
    • -0.54%
    • 솔라나
    • 195,100
    • -2.4%
    • 에이다
    • 813
    • -0.49%
    • 트론
    • 379
    • +0.26%
    • 스텔라루멘
    • 338
    • -0.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750
    • -2.29%
    • 체인링크
    • 17,610
    • -1.45%
    • 샌드박스
    • 347
    • -0.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