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저축은행 PF 연체율·부실채권 ‘적신호’…연체 규모는 줄어

입력 2025-04-0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4-06 17:22)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자산 상위 5개 저축은행 PF 연체액 1846억…전년比 115억 감소
PF 연체율·부실채권 상승…부실 PF 사업장 정리 교착
PF 포함 연체율·고정이하여신↑…당국·업계 건전성 대응 나서

국내 5대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웰컴·애큐온)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 심화하고 있다. 다만 전체 연체잔액 규모는 감소했다.

6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자산규모 상위 5개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액은 1846억 원으로 전년 1961억 원 대비 115억 원 감소했다. OK저축은행이 911억 원으로 가장 연체액 규모가 컸고, 한국투자저축은행 533억 원, 웰컴저축은행 210억 원, 애큐온저축은행 172억 원 순이었다. SBI저축은행은 20억 원으로 규모가 작았다.

건전성은 악화했다. PF 연체율 범위는 2.46~10.39%로 전년 2.27~9.2% 대비 상승했다. 특히 OK저축은행이 PF 연체율 10%를 넘어섰다. 웰컴저축은행이 7.02%, 한국투자저축은행이 6.17%, 애큐온저축은행 5.82%, SBI저축은행이 2.46% 수준이었다.

부실채권(NPL)으로 분류되는 PF 고정이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대출채권은 총 2283억 원으로 전년 말(2044억)보다 늘었다. 저축은행 업계의 부실 PF 정리 작업이 교착상태에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이 마련한 PF 정보공개 플랫폼에 따르면 공개된 385개 사업장 중 저축은행이 대리금융기관으로 등재된 사업장이 121개로 금융권에서 가장 많다.

저축은행의 전반적인 건전성 지표도 악화했다. 5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연체율은 4.97~9.05%로 전년 4.91~6.86%보다 급등했다. OK저축은행이 9.05%로 업권 전체 연체율(8.52%) 대비 높은 수준을 보였고, 한국투자저축은행이 8.13%, 웰컴저축은행이 7.5%, 애큐온저축은행이 5.36%, SBI저축은행이 4.97%를 기록했다.

부실채권도 함께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5대 저축은행의 총 고정이하여신은 3조3635억 원으로 전년 말 2조7297억 원 대비 23.22%(6338억 원) 증가했다.

PF 부실 여파에 더해 지난해 경기 회복 지연과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차주들의 채무 상환 능력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것이 연체율 및 부실채권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금융당국은 부실채권 정리 및 건전성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저축은행중앙회와 1조 원 규모 3차 PF 대출 정상화 펀드 조성 및 운용을 추진 중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상반기 부실채권 관리 전문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근원적으로 부동산 시장과 경제 상황이 좋아져야 하겠지만, 당분간은 어려워 보인다”며 “업권 내에서 할 수 있는 조치는 최대한으로 취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광주서 10대 추락 사고, 지나가던 모녀 참변
  • 야닉 시너 윔블던 8강행, 디미트로프 부상 기권
  • 韓 기업 3곳 중 1곳만 ‘AI 기본법’ 이해한다는데…시행령에 쏠리는 눈
  • “갓성비에 장거리주행도 거뜬” 중국 BYD ‘아토3’타고 800㎞ 달려보니 [ET의 모빌리티]
  • AI 도서 판매 3년 연속 증가⋯1위는 유발 하라리 '넥서스' [출판·번역시장도 AI바람 ①]
  • 대체재 많은데…‘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후발주자 급증
  • "공이 빨라 인마" 김성근의 질책…'불꽃야구' 성남고 1차전 결과는?
  • 트럼프 “한국 상호관세 25%”… 산업부 “협상 박차” [종합2보]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10: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600,000
    • -0.64%
    • 이더리움
    • 3,463,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679,500
    • -0.07%
    • 리플
    • 3,092
    • +0.16%
    • 솔라나
    • 203,900
    • -1.12%
    • 에이다
    • 789
    • -0.88%
    • 트론
    • 393
    • +0%
    • 스텔라루멘
    • 338
    • -2.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010
    • +1.49%
    • 체인링크
    • 18,140
    • -1.2%
    • 샌드박스
    • 329
    • -2.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