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임위 규모 축소하고, 최저임금 수준·범위 전문가들이 정해야"

입력 2025-05-15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저임금 제도개선 연구회 제안서 제출⋯"사회적 대화 가치 존중하되, 합리적 토론 가능하도록 마련"

(자료=고용노동부)
(자료=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최임위) 전·현직 공익위원들이 위원 규모를 축소하고, 최저임금 결정구조를 전문가 중심으로 전환할 것을 권고했다.

전·현직 공익위원 9명으로 구성된 최저임금 제도개선 연구회(이하 연구회)는 15일 활동을 마무리하고 그간의 논의 결과를 담은 제안서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했다.

연구회는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 9인씩 27인으로 구성된 현행 최임위에서 각 위원이 특정 단체·진영의 이해관계에 종속돼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매년 근로자·사용자위원이 9대 9로 나뉘어 소모적 논쟁을 반복하고, 법정 심의기한을 넘겨 객관적인 근거 없이 표결이나 공익위원 중재로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이에 연구회는 최임위 규모를 노·사·정(공익) 5인씩 15인으로 축소하는 것을 전제로 노·사·정이 추천하는 전문가로만 최임위를 구성하는 1안과 현재처럼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으로 구성하는 2안을 제시했다. 1안에선 노·사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최임위 산하에 노·사가 직접 참여하는 임금수준 전문위원회와 제도개선 전문위원회를 두는데, 전문위원회의 의견은 최임위 결정 과정에 구속력이 없다. 2안은 현행과 유사한 구조이나, 전문가로 구성된 산하 전문위원회의 의견에 구속력이 있다. 2안에서 임금수준 전문위원회는 최저임금 협상의 ‘범위’를 정하며, 제도개선 전문위원회는 업종별 구분, 도급제 적용 등에 관한 심의·의결권을 갖는다.

두 안은 위원 자격만 다를 뿐, 모두 전문가 중심으로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연구회는 “최저임금의 노·사·공 3자 결정 방식은 제도 도입 초기부터 계속돼 온 구조로서 사회적 대화의 가장 대표적인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이러한 결정구조의 가치를 존중하되 노·사·공이 합리적으로 토론하고 숙의를 통해 통합적 결정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 두 가지 방안은 이러한 목적으로 제안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연구회는 기타 제도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노·사 위원 추천권 범위를 한국·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민주노총),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등에서 확대하고, 공익위원을 호선으로 선출하는 위원장을 대통령 위촉으로 변경하는 방식을 권고했다. 이 밖에 업종별 구분과 관련해선 업종 단위에서 노·사 간 합의가 있을 때 이를 최임위에서 심의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한편, 이번 연구회 제안은 그간의 논의를 정리하는 성격이다. 연구회 제안을 어떻게 활용할지는 현재 고용부가 아닌 새 정부가 결정한다. 다음 달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이 교체되면 내용과 무관하게 윤석열 정부에서 논의·마련된 제안서는 폐기될 가능성이 크다. 정권이 유지돼도 최저임금 제도개선은 법 개정이 필요해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과 전쟁 돌입…핵시설 3곳 폭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미사일 보복' 나선 이란… "이스라엘 상공에 폭발음"
  • 범접 메가크루 반응 터졌는데…허니제이ㆍ아이키, 언행 논란으로 '찬물'
  • 'K-AI' 기대감에 '국민주' 네카오 불기둥 행렬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891,000
    • -3.13%
    • 이더리움
    • 3,060,000
    • -8.66%
    • 비트코인 캐시
    • 622,500
    • -6.39%
    • 리플
    • 2,754
    • -5.43%
    • 솔라나
    • 181,300
    • -5.96%
    • 에이다
    • 739
    • -6.46%
    • 트론
    • 366
    • -4.44%
    • 스텔라루멘
    • 313
    • -6.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80
    • -3.69%
    • 체인링크
    • 15,870
    • -7.19%
    • 샌드박스
    • 319
    • -5.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