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채권 3400억 상환…“거래유지율 95%, 영업실적 긍정적”

입력 2025-03-14 1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3일 긴급 기자간담회 개최…현재 현금 1600억원 보유
“모든 채권 일시 지급은 어려워…대기업 양해 부탁”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하루라도 빨리 회사를 정상화 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조주연 홈플러스 사장은 14일 서울시 강서구 소재 홈플러스 본사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회생절차로 인해 불편을 겪고 계신 협력사, 입점주, 채권자 등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번 기자간담회는 4일 기업회생절차가 개시됨에 따라 협력사, 임대점주 및 채권자들에게 상거래채권 지급 진도율, 상품 공급 안정화 현황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마련했다. 회사의 확고한 정상화 의지도 전달했다.

조 사장은 “법원에서 신속하게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해 준 덕분에 현재 빠르게 정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6일부터 상거래채권 지급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13일까지 상거래채권 중 3400억 원을 상환 완료했으며 대기업과 브랜드 점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세업자 채권은 곧 지급 완료될 것”이라며 “13일 기준 현금시재가 약 1600억 원이며 영업을 통해 매일 현금이 유입되고 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잔여 상거래채권 지급도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또 “협력사와 임대점주들께 지불해 드려야 하는 상거래채권은 순차적으로 지급해 드리고 있으며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두 지급할 것”이라며 변제를 약속했다.

홈플러스는 회생절차 개시 이후 영업부분에서도 긍정적인 실적 지표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생절차가 개시된 4일 이후 한 주간 동안의 매출은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던 작년 동기 대비 13.4% 증가했고, 객수도 5% 증가했다고 밝혔다. 13일 기준 하이퍼, 슈퍼, 온라인 거래유지율은 9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조 사장은 “실적 개선은 2022년 선보인 식품특화 매장인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점포의 매출 증가 및 온라인부문의 성장, 그리고 멤버십 회원 수가 1100만 명을 초과하는 등 고객기반이 크게 늘어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향후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정상화를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양해와 도움을 당부하기도 했다. 조 사장은 “현실적으로 모든 채권을 일시에 지급해 드리기는 어려움에 따라 소상공인과 영세업자 분들의 채권을 우선순위로 해 순차적으로 지급 중에 있다”며 “대기업 협력사들이 조금만 양보해 준다면 분할상환 일정에 따라 반드시 모든 채권을 상환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북 북동부 산불 사망자 18명…부상자 19명·실종자 1명
  • 임영웅, 세금 체납으로 51억 펜트하우스 한때 압류…"우편물 확인 못 해"
  • 단독 금융당국 '보험사기 블랙리스트' 검토 [8조 원의 행방上]
  • 12단에서 16단으로…HBM, 얼마나 더 쌓을 수 있을까 [ET의 칩스토리]
  •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 오늘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유행 따라 출격, 끝은 상폐?’…운명의 갈림길 선 ETF
  • "싱크홀 전조 현상 있었다…지하철 공사 원인 가능성 70%"
  • 비트코인, 美 소비자신뢰지수 위축에 횡보…솔라나·도지는 일주일새 10%↑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3.26 11: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065,000
    • +0.55%
    • 이더리움
    • 3,041,000
    • -0.1%
    • 비트코인 캐시
    • 495,700
    • +1.74%
    • 리플
    • 3,628
    • +1.14%
    • 솔라나
    • 211,400
    • +2.77%
    • 에이다
    • 1,107
    • +2.79%
    • 이오스
    • 841
    • +0.24%
    • 트론
    • 335
    • -0.3%
    • 스텔라루멘
    • 437
    • +2.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400
    • +1.85%
    • 체인링크
    • 22,700
    • +2.48%
    • 샌드박스
    • 458
    • +3.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