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탈(脫)제주... 10년만에 서울-제주 인구이동 역전

입력 2020-02-17 10: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한령, 집값 급등 등 부정적 요인 많아져

▲서울에서 제주로의 인구 순이동 추이. (자료 제공=직방)
▲서울에서 제주로의 인구 순이동 추이. (자료 제공=직방)

지난해 제주에서 서울로 이동한 인구수가 서울에서 제주로 이동한 인구수를 뛰어넘었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나타났다.

관광산업 부진 등 일자리 감소와 높은 주택 가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제주를 떠나는 사람이 늘어났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17일 직방이 통계청의 인구이동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에서 서울로 총 10명이 순이동(전입-전출)했다.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서울로의 전입인구가 더 많아진 것이다.

제주 이전은 지난 2010년 이후 은퇴 노년층의 제주살이와 국제학교 입학 등으로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아 서울에서 제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순유출됐다. 특히 중국 자본의 대거 유입으로 제주 내 건설경기가 활성화되고 유관산업이 파생돼 2015년엔 최고 4083명의 순유입이 발생했다.

그러나 사드(THAAD) 사태 이후 발효된 한한령, 급격히 상승한 주택 가격 등 부정적인 요인들이 중복되면서 순유입 인구은 점차 줄고 있다. 2015년에는 강남3구에서 총 1059명이 제주로 순유출 됐지만 지난해엔 18명에 그쳤다.

이는 집값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5년 연간 최고 13.78%까지 상승했던 제주 아파트값은 지난해 3.66% 하락하며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실제 제주에서 집값이 가장 높은 곳으로 알려진 노형동 아이파크2차의 경우 전용 115㎡가 2017년 7월 11억1700만 원에 거래됐으나 지난해 8월 8억3000만 원으로 하락했다. 전용 84㎡ 역시 같은 기간 8억 원에서 6억9000만 원으로 1억1000만 원 떨어졌다. 이 같은 영향에 외지인 투자비율도 감소세로 돌아서고 있다고 직방 측은 설명했다.

제주 아파트 시장의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제주 관광산업의 부진과 인구 유입 감소로 주택수요 확대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투자 목적 중심의 외지인 거래 축소가 발생하고 있다고 직방은 분석했다. 여기다 제주 내 아파트 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일자리 감소로 생산 연령층이 자리잡지 못하고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관광산업이 주력인 제주 내에서 중국인 관광객 영향력 감소로 일자리는 줄어드는데 한번 올랐던 주택 가격은 여전히 호가를 유지하고 있어 사회초년생들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는 있다"며 "제주2공항 건설 이슈와 한한령 해제 등 긍정적인 요인도 남아 있지만, 아파트보다는 토지시장 중심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커 제주아파트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반감기’ 하루 앞둔 비트코인, 6만3000달러 ‘껑충’…나스닥과는 디커플링 [Bit코인]
  •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또 천만 노리는 ‘범죄도시4’,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살아남아야 한다…최강야구 시즌3, 월요일 야구 부활 [요즘, 이거]
  • 단독 두산그룹, 3년 전 팔았던 알짜회사 ‘모트롤’ 재인수 추진
  • 기후동행카드, 만족하세요? [그래픽뉴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12: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933,000
    • -1.25%
    • 이더리움
    • 4,385,000
    • -2.25%
    • 비트코인 캐시
    • 685,000
    • -3.32%
    • 리플
    • 715
    • -3.12%
    • 솔라나
    • 200,500
    • -0.5%
    • 에이다
    • 651
    • -2.69%
    • 이오스
    • 1,090
    • -0.73%
    • 트론
    • 159
    • -3.05%
    • 스텔라루멘
    • 160
    • -0.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300
    • -3.38%
    • 체인링크
    • 19,610
    • -0.51%
    • 샌드박스
    • 624
    • -3.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