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등 ‘광역적 도시관리체계’ 방향 모색…서울시, 정책토론회 개최

입력 2018-12-17 09: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등 대도시권 차원에서 행정구역의 경계를 초월한 ‘광역적 도시관리체계’ 구축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는 가운데 그 방향과 실현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대도시권 계획체계 구축의 필요성과 전략’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국내 광역 도시계획 및 교통 분야 전문가를 비롯해 정부, 서울시, 중앙·지방 연구원 등 150여 명이 참여한다.

서울ㆍ경기ㆍ인천 지역은 전 국민의 약 50%가 거주하고, 출퇴근 인구의 약 41.3%가 수도권 지역 간 경계를 넘나드는 ‘공동 생활권’을 이루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교통기술의 혁신, 신도시 개발 등으로 도시의 광역화가 가속화되면서 수도권 광역교통체계, 주택공급, 대기질 개선 같이 대도시권 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이슈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가경쟁력 강화와 국토균형발전적 측면에서도 여러 도시를 아우르는 광역적 도시계획ㆍ관리가 중요해지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이런 문제와 필요성을 인식해 2015년부터 인접 지자체, 각계 전문가와 협업해 ‘대도시권 계획체계’ 구축방안에 대해 논의해왔다. 지난해 5월에는 국책.지방연구원과 대도시권 지자체, 관련 전문가가 첫 정책토론회를 개최, 광역적 도시관리체계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실현방안을 모색한 바 있다.

정부의 지방분권화 기조와 함께 ‘제5차 국토종합계획’과 ‘수도권정비계획’이 현재 수립 중에 있고,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수립시기가 도래한 점 등을 감안하면 지금이 광역적 도시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키고 확장시킬 적기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첫번째 주제발표에서는 이수기 한양대 교수가 ‘도시의 광역화와 광역공간구조’를 주제로 발표하고, 이어 모창환 한국교통연구원 광역교통행정연구팀장이 ‘대도시권 광역화와 광역교통위원회’, 우명제 서울시립대학교 교수가 ‘대도시권 계획체계 구축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다.

주제발표에 이어 패널들의 종합토론과 방청객들과 함께하는 질의응답 순서가 진행될 예정이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정책토론회가 대도시권 계획쳬계를 통한 광역적 도시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국토 차원에서 공감하고, 논의를 발전시키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대중교통 요금 20% 환급"...K-패스 오늘부터 발급
  • "뉴진스 멤버는 쏘스뮤직 연습생 출신…민희진, 시작부터 하이브 도움받았다"
  • "불금 진짜였네"…직장인 금요일엔 9분 일찍 퇴근한다 [데이터클립]
  • 단독 금융위, 감사원 지적에 없어졌던 회계팀 부활 ‘시동’
  • "집 살 사람 없고, 팔 사람만 늘어…하반기 집값 낙폭 커질 것"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이어지는 의료대란…의대 교수들 '주 1회 휴진' 돌입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106,000
    • -2.98%
    • 이더리움
    • 4,551,000
    • -2.11%
    • 비트코인 캐시
    • 695,000
    • -4.86%
    • 리플
    • 764
    • -3.29%
    • 솔라나
    • 213,900
    • -4.76%
    • 에이다
    • 687
    • -4.98%
    • 이오스
    • 1,193
    • -1.81%
    • 트론
    • 166
    • +1.84%
    • 스텔라루멘
    • 166
    • -2.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500
    • -4.37%
    • 체인링크
    • 21,040
    • -4.49%
    • 샌드박스
    • 673
    • -4.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