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9월 위기설] 2011년 ‘美 패닉’ 데자뷰… 이젠 ‘차이나 리스크’에 떤다

입력 2015-09-01 11: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년전 美 신용등급 강등으로 코스피 17% 빠지고 외인 3조 이상 매도… 연준 통화정책·中 경기부양 의지 올해의 증시 변곡점

글로벌 증시가 미국의 9월 정책금리 인상을 두고 출렁이고 있다. 중국의 잇단 경기부양 정책에 안정을 되찾는 듯해 보였던 국내외 증시는 미국의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재차 대두되자 다시 요동치는 모습이다.

사그라지지 않은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와 머지않아 돌아올 미국의 금리인상은 여전히 국내 증시를 위협하는 잠재적인 요인으로 남아있다. 이에 국내 증시 전문가들은 과거의 위기에서 미래의 해답을 찾고 있다. 가깝게는 2013년 테이퍼링 위기와 2011년 미국 신용등급 강등이 있고 G2에서 촉발되는 금융위기라는 점에서 2008년과 견주는 의견도 나온다.

◇2011년과 2015년의 데자뷰? = 증권가에서 현재 위기와 관련해 가장 유사하다고 꼽힌 시기는 2011년 미국 신용등급 강등 당시 패닉 국면이다. 2011년과 지금의 위기는 다양한 악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유사점이 있다.

2011년 4월 포르투갈이 구제금융을 신청했고 미국의 출구전략에 대한 위기감에 더해지는 가운데 신용평가사 S&P가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글로벌 증시는 혼돈으로 빠져들었다.

당시 코스피 지수는 8월 2일부터 9일까지 6거래일 동안 매일 2% 이상 하락하며 충격이 진정되기까지 단기간에 17% 이상 빠졌다. 당시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둬들인 자금은 3조2500억원에 달한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지난 8월 5일부터 17거래일 이상 순매도 기조를 유지하며 자금을 빼고 있는 현재의 상황과 비슷하다. 다만 이번 위기에는 증시 하락폭과 외국인 매도 규모 측면에서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민병규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011년 미국 신용등급 강등 당시와 비교해 적은 충격을 경험하고 있다”며 “증시 하락폭과 외국인 매도 규모 측면에서 아직 패닉이 충분히 반영되었다는 확신을 가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2013년 美 출구전략+中 경기침체→동남아 위기의 결말은? = 2013년 초여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으로 시작된 충격은 중국 경기침체 우려로 더욱 확산되면서 불안감을 키웠다는 점에서 올 해 글로벌 증시 상황과 비슷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신흥국이 위기의 증폭제가 될 수 있는 변수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증시 전문가들은 현재 동남아 경제 취약국의 위기가 2013년과 원인과 진행 결과 측면에서 유사하나 그 강도는 훨씬 강한 상태라고 지적한다. 그런 점에서 2013년과 마찬가지로 이번 위기의 결과는 2013년의 경험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 연준이 펼칠 통화정책과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에 달려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강력한 금리정상화를 표방한 데 이어 중국경제의 침체가 심화된다면 한국 원화 가치와 주가가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던 1997년 말의 외환위기 충격이 재현된다”며 “2015년 가을 동 위기의 결말이 어디로 수렴되는지는 2013년의 사례에서 보았듯이 미 연준의 통화긴축 스탠스와 중국정부의 경기부양 의지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2008년의 미국은 2015년의 중국과 같다? = 2008년 미국경제 둔화와 과잉부채 등 문제가 글로벌 금융위기로 번졌듯이 2015년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는 글로벌 금융위기 및 경기침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미국과 유럽의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양호한 수준의 경제지표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중국발 리스크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임동인 교보증권 연구원은 “2008년 중국 경제 상황은 좋았지만 미국 경제에 대한 우려는 컸으며 2015년에는 미국 경제 상황은 좋지만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는 크다”며 “결국 2015년 글로벌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 방향은 중국 발 금융경색 환경에서 단서를 찾아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경제 둔화로 인한 신흥국의 자금 유출에 대해 우려했다.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가 18거래일 연속 매도 우위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만약 중국발 금융위기와 경기침체가 확대된다면 신흥국에 대해선 우선적인 리스크 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란 설명이다.

임 연구원은 “현재 신흥국은 경기부진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자본유출 위험에 따른 통화약세 스트레스가 극심한 상황”이라며 “2015년 중국 경제둔화 우려로 10개 국가 즉 대만, 싱가포르, 태국, 한국 등이 지목되는데 이들 신흥국의 경제 환경이 크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며 현재 상황에서는 실제적인 자본유출 상황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정상속분 ‘유류분’ 47년만에 손질 불가피…헌재, 입법 개선 명령
  • 2024 호텔 망고빙수 가격 총 정리 [그래픽 스토리]
  • "뉴진스 멤버들 전화해 20분간 울었다"…민희진 기자회견, 억울함 호소
  • "아일릿, 뉴진스 '이미지' 베꼈다?"…민희진 이례적 주장, 업계 판단 어떨까 [이슈크래커]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8000원에 입장했더니 1500만 원 혜택"…프로야구 기념구 이모저모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263,000
    • -3.66%
    • 이더리움
    • 4,520,000
    • -3.42%
    • 비트코인 캐시
    • 687,000
    • -5.5%
    • 리플
    • 758
    • -3.68%
    • 솔라나
    • 211,400
    • -6.54%
    • 에이다
    • 680
    • -5.29%
    • 이오스
    • 1,248
    • +0.73%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65
    • -4.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950
    • -7.03%
    • 체인링크
    • 21,250
    • -4.45%
    • 샌드박스
    • 659
    • -7.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