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하이트진로 출장으로 필리핀 마닐라를 방문했다. 하이트진로가 지난해 베트남에 이어 필리핀 출장을 추진한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머릿속에 “왜?”라는 생각이 들었다. 베트남처럼 소주 생산공장을 짓고 있는 것도 아닌데, 뚜렷한 취잿거리 없이는 해외출장을 기획하는 게 절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동남아 주류 시장이 거기서 거기일 거란 편견도 있었다.
하이트진로, 첫 해외공장 베트남 선택필리핀은 과일소주 넘어 일반소주 더 인기
하이트진로를 중심으로 국내 주류기업들이 앞다퉈 해외 현지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빠르게 성장하는 동남아시아 시장에 사활을 걸며, ‘소주의 세계화’에 앞장 서고 있다.
28일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소주 수출액은 처음 2억 달러를 달성했다. 과거 일본에 집중
필리핀 가성비 슈퍼마켓ㆍ창고형 할인마트 메인 매대 차지숙취 없이 편하게 즐기는 ‘컴포트 드링크’ 인식...파티 때 즐겨‘한국 술’이지만 현지 문화에 정착...K컬처 즐기는 젊은층 수요 급증하이트진로, 참이슬 등 매년 15% ‘폭풍 성장’...힙한 소주로 포지셔닝
“부드럽고 깔끔한 맛, 소주 주세요!”
18일부터 21일까지 머무른 필리핀, 이곳에서 만
“진로, 필리핀서 트렌디하면서 친숙한 술”진로의 궁극적 목표는 ’세계인의 동반자’
김인규 하이트진로 대표는 필리핀에서 다진 ‘진로(JINRO)의 대중화’ 성공 사례를 발판으로 글로벌 주류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다지겠다는 각오다. 진로를 단순한 주류가 아닌 ‘문화적 동반자’로 포지셔닝해 전 세계인을 즐겁게 하겠다는 목표다.
김인규 대표는 18일(현지
교민 중심에서 현지인까지 확대지난해 일반소주 판매 비중 68%현지화 전략과 한류 영향력 조화
해외 시장에 진출한 K-소주는 과일소주 위주로 호응이 큰 편이지만, 하이트진로는 적극적인 현지화 공략을 통해 필리핀에서 과일소주뿐 아니라 일반소주까지 현지 소비자의 삶에 제대로 파고들었다. 필리핀에서 ‘소주의 세계화, 진로(JINRO)의 대중화’라는 글로벌 비
하이트진로, 미국•일본 등 80개국 수출…작년 기타재제주 12% 증가롯데칠성, 과일소주 수출 연 20% 늘어…대형 유통채널 잇달아 입점
국내 주류업체들이 일반 희석식 소주 대신 다양한 맛의 플레이버 소주인 ‘과일소주’를 주력으로 내세우며 해외 시장 개척에 힘을 쏟고 있다.
26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플레이버 주류 시장은 20
지난해 한국 소주류 수출액 전년 대비 3.9% 증가국가별 비중 미국 24.3%로 1위⋯중국·일본 뒤이어진입장벽 낮은 ‘과일소주’, 수출액 성장세⋯전년 대비 5.4% 증가
전 세계적인 K콘텐츠 인기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면서 미국·일본·동남아 등에서 한국 소주(K-소주)를 찾는 해외 소비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한때 유행
하이트진로는 LA다저스와 함께 진행한 ‘한국 문화유산의 밤’ 행사를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하이트진로는 전 세계 메이저리그(MLB) 팬들을 대상으로 ‘진로(JIRNO)’의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한국 문화의 매력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경기 전 진로의 캐릭터 ‘두꺼비’가 시구자로 등장했다. 한글로 제작한 LA다저스 유니폼과 ‘다저스X진로 클
소주 수출 2년 연속 1억 달러...K콘텐츠 단골손님 '초록병' 세계서 주목하이트진로, 80개국 수출....롯데칠성도, 일반·과일소주 마케팅 확대
‘서민의 술’, ‘한국 대표 술’이란 별명을 가진 국산 소주가 올해 해외 시장에서 파이를 확실히 키울 태세다. K콘텐츠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커지면서 단골 메뉴로 등장하는 ‘초록병 술’ 소주에 대한 관심도
KB증권은 하이트진로에 대해 소주 수출 확대가 국내 주류시장 둔화를 방어하고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주가 2만7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하며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류은애 KB증권 연구원은 “하이트진로의 소주 해외 매출액이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13.0% 성장하며 하이트진로의 소주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연평균 1
롯데웰푸드 '빼빼로'·삼양 '불닭'…뉴욕 맨해튼 타임스퀘어 전광판에 광고 농심, 뉴욕 현지인 대상으로 '신라면' 체험 팝업 진행…사흘간 총 2000명 방문
9일(현지시간) 오후 8시 웨스트 42번가와 웨스트 7번가 브로드웨이가 교차하는 미국 뉴욕 맨해튼의 대표 관광 명소 타임스퀘어(Times Square) 광장. 양옆으로 길게 늘어선 화려한 건물 옥외 광
“장기 성장 전략 일환…더 다양한 한국 술 선보일 것”
오비맥주가 신세계엘앤비(L&B)의 ‘제주소주’를 전격 인수, 소주 사업에 처음 진출한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 소주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K-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제주소주를 내세워 글로벌 보폭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11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세계 최대 맥주회사 AB인베브의 자회사 오비맥주는
오비맥주가 신세계엘앤비(L&B)로부터 '제주소주'를 전격 인수합병, 국내 소주 사업에 처음 진출한다. 현재 국내 소주 시장은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가 양강 체제가 뚜렷한 가운데 오비맥주의 등장으로 '3파전' 구도로 변화할지 주목된다.
11일 IB(금융투자) 및 주류업계에 따르면 세계 최대 맥주회사 AB인베브의 자회사 오비맥주는 신세계그룹 계열 주류
베트남 하노이 인근에 생산기지 건설우선 공략국 8→17개국으로 확대
창립 100주년을 맞은 하이트진로가 미래 청사진을 해외에서 그린다. 한국인의 술 소주를 내세워 베트남 등 동남아는 물론 유럽, 미주 지역까지 세계인을 적신다는 포부다.
18일 하이트진로는 창립 100주년을 맞아 최근 '글로벌 비전 2030'을 선포하고 '글로벌 소주 1위' 브랜드로 도약
하이트맥주, 2005년 진로 인수해 종합주류기업으로‘참이슬ㆍ하이트’ 국내 대표 주류 브랜드 자리매김침체기 신제품 ‘테라ㆍ켈리ㆍ진로’ 앞세워 변화구해외선 과일소주 인기…“또다른 100년 준비”
국내 대표 주류 기업 하이트진로가 올해 설립 100주년을 맞았다. 국내 최초 소주ㆍ맥주 회사의 결합으로 사업을 키워온 하이트진로는 '참이슬', '하이트' 등 기존
하이트진로가 베트남 대학생에 장학금을 전달하며 현지 미래 인재 육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12일(현지시간) 하노이국립외국어대와 하노이대 학생 20명에 총 4억 동(약 2100만 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1인당 장학금은 2000만 동(약 108만 원) 수준이다.
이날 장학금 전달식에는 장인섭 하이트진로 전무, 조성균 하이트진로 베트남
현지 판촉직원들, 중심가 주점 곳곳서 영업하이트진로 “베트남서 소주는 힙한 술”시내 마트엔 현지 제조 ‘짝퉁’ 제품 수두룩
소주 1병은 맥주 3병 값, 분위기 내고 싶은 특별한 날 마셔요.
13일 베트남 하노이 중심가에 있는 일명 '맥주 거리' 타히엔에 들어서자, 밤 문화를 즐기려는 현지인과 외국인 관광객이 삼삼오오 모여 술을 마시는 광경이 펼쳐졌다. 거
베트남 타이빈 그린아이파크 산단, 수도 하노이ㆍ항구도시 하이퐁 인접 약 8만2083㎡(5000여 평), 전 세계 소주 생산량의 17% 차지
하이트진로 첫 해외공장 생길 베트남 타이빈, 수도 하노이·항구 도시 하이퐁과 인접한 한국으로 치면 인천 같은 도시죠.
13일 베트남 타이빈 소재 그린아이파크(GREEN i-PARK) 산업단지 내 하이트진로 생산공장 부
글로벌 슬로건 '편하게 한 잔, 한 잔 후 가깝게' 제시맥주만큼 대중적 술, '진로' 브랜드 독보적 경쟁력 구축과일소주로 진입장벽 낮추고 우선 공략국 8→17개로 확대스포츠ㆍ페스티벌로 소통...글로벌 소주 1위 브랜드 목표
올해 창립 100주년을 맞은 하이트진로가 대한민국 대표 술, 소주를 세계인이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대중적 술로 키워낸다는 비전을
일본ㆍ미국 이어 동남아ㆍ유럽까지 시장 다변화하이트 베트남 생산기지 2025년 완공 목표롯데칠성, 소주 이어 맥주 몽골 진출
K콘텐츠 붐에 힘입어 K푸드 못지 않게 한국 주류업체들도 앞다퉈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그동안 일본과 미국에 국한했던 시장을 중국, 동남아, 유럽까지 확장해 전 세계인이 한국 술에 취하게 하겠다는 각오다.
2일 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