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중소제조업 생산 0.8% 증가…조업일수·반도체 증가 영향

입력 2025-06-25 09: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소기업 취업자 7만8000명 늘어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연구원)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연구원)

4월 중소제조업 생산이 조업일수 증가와 반도체, 기타운송장비 등의 증가에 힘입어 작년 같은 달보다 1% 미만 증가했다.

25일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KOSI 중소기업 동향’ 6월호에 따르면 4월 중소제조업 생산은 조업일수(1일) 증가와 반도체, 기타운송장비 등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0.8% 증가했다. 중소서비스업 생산은 내수 시장의 어려움 지속하고 있지만 운수·창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0.8% 늘었다.

4월 소매판매액은 53조3000억 원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1.1% 증가했다. 내구재(4.2%)와 비내구재(2.0%) 판매액은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증가했지만, 의복 등 준내구재(-4.6%)는 감소했다. 다만, 가격 요인을 제거한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0.1% 줄었다.

5월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2583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만8000명 늘었다. 규모별로 1~4인 업체의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5000명 줄었고, 5~299인 업체는 21만3000명 증가했다. 제조업과 건설업 부진으로 고용 감소세가 지속했으나, 감소폭은 전월보다 줄었다. 중소기업 임금 근로자 중 상용근로자(17만5000명)와 임시근로자(4만4000명)는 증가했고, 일용근로자(5만7000명)는 감소했다.

4월 창업기업 수는 10만1751개로 전년 동월 대비 3.0% 감소했다. 업종별로 제조업(-6.8%), 서비스업(-2.5%), 건설업(-5.5%) 등 주요 업종 전반에서 창업이 줄었다. 다만,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 수는 1만8070개로 전년 동월 대비 0.6% 증가했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중소기업 생산, 고용 등 주요 경기지표가 전년 동월보다 소폭 증가했지만, 중동분쟁 등 대외 불확실성이 향후 중소기업 경기지표의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정책당국은 추경의 내수경기 회복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는 한편, 대외 불확실성 확대가 내수 시장에 미칠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모수개혁은 한계, 통합적 구조개혁 필요 [다시 연금개혁]
  • ‘여가 늘면 소비자 지갑 열린다’⋯오프라인 유통가, 현실화 때 ‘특수 기대’
  • 소버린 AI, ‘자립’에서 ‘확장’으로⋯글로벌 기술패권 노린다 [이재명표 AI 전략]
  • [종합]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위협에도 상승…다우지수 0.2%↑
  • 시흥 기계 제조공장서 화재…안전재난문자 발송
  • '불꽃야구' 성남고 2차전, 문교원의 짜릿한 역전타
  • "눈 떠보니 내가 여주인공?!"…요즘 공연 영화, 이렇게 변신했다 [엔터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10: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079,000
    • +0.08%
    • 이더리움
    • 4,054,000
    • +0.45%
    • 비트코인 캐시
    • 680,500
    • -0.95%
    • 리플
    • 3,933
    • +0.85%
    • 솔라나
    • 219,300
    • -0.45%
    • 에이다
    • 985
    • -3.81%
    • 트론
    • 409
    • -0.24%
    • 스텔라루멘
    • 613
    • -1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560
    • -0.59%
    • 체인링크
    • 21,150
    • -0.8%
    • 샌드박스
    • 411
    • -3.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