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해군 기뢰제거 핵심 전력 소해헬기(MCH) 초도비행 성공

입력 2025-06-24 16: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6년 하반기 개발 완료 목표
미국·이탈리아 이어 3번째 소해헬기 개발
해군, 소해헬기 대대 창설 예정
KAI “해군 항공전력 강화 기여할 것”

▲KAI가 24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소해헬기 초도비행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KAI)
▲KAI가 24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소해헬기 초도비행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소해헬기(Mine Countermeasures Helicopter·MCH) 시제기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24일 KAI는 경상남도 사천 본사에서 초도비행 기념행사 개최했다. 지난 16일 성공적으로 마친 MCH 초도비행을 축하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해군 항공사령관,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장을 비롯해 IPT, 해군, 기품원, 감항기관 등 주요 기관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레이저 기뢰 탐색 장비(ALMDS)가 장착된 MCH의 시범비행이 진행됐다. KAI는 2022년 12월 방위사업청과 계약 체결 이후 MCH 체계개발에 착수했다. 해상 및 함상 운용능력이 입증된 마린온을 기반으로 항전장비를 업그레이드하고 다양한 소해 임무장비가 탑재된다.

초도비행을 마친 MCH는 본격적인 비행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시험평가를 거쳐 2026년 하반기 개발 완료가 목표다. 개발이 완료되면 KAI는 미국 시콜스키(Sikorsky)사와 이탈리아 레오나르도(Leonardo)사에 이어 세계 3번째로 소해헬기 개발에 성공하게 된다.

향후 해군에서 소해헬기 대대를 창설하고 MCH가 본격 임무에 투입되면 소해함만으로 작전을 수행해야 했던 해군의 기뢰위협 대응 능력과 독립작전 능력이 한층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해헬기는 기뢰작전에서 소해함보다 기동성이 우수하다. 저공비행 능력을 활용해 함정이 접근하기 어려운 낮은 수심의 기뢰를 탐지제거 할 수 있다. 보다 효율적 작전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KAI 관계자는 “수리온 개발 성공 이후 다양한 파생형 헬기 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소해헬기 개발로 국내 헬기 개발 기술을 글로벌 시장에서 입증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남아있는 개발 일정을 차질 없이 수행해 해군의 항공전력 강화에 기여하고 MCH가 새로운 K-방산 수출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577,000
    • +0.04%
    • 이더리움
    • 3,992,000
    • -1.46%
    • 비트코인 캐시
    • 694,500
    • -2.18%
    • 리플
    • 3,777
    • +3.42%
    • 솔라나
    • 216,800
    • -3.43%
    • 에이다
    • 968
    • -5.74%
    • 트론
    • 409
    • +1.74%
    • 스텔라루멘
    • 541
    • +20.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530
    • -2.36%
    • 체인링크
    • 20,440
    • -3.4%
    • 샌드박스
    • 389
    • -3.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