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증시] 중동 리스크 완화에 반색…홍콩ㆍ대만 증시 2%대↑

입력 2025-06-24 16: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스라엘-이란 휴전 합의가 최대 호재
전쟁 프리미엄 제거된 국제유가는 하락
경기 부양책 기대감에 中 증시 매수세↑

▲홍콩증시 항셍지수. 출처 마켓워치
▲홍콩증시 항셍지수. 출처 마켓워치

24일 아시아 증시는 한국 시간으로 이른 아침 전해진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소식에 일제히 상승했다.

주요 증시 대부분 1% 넘는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만과 홍콩 증시는 높은 거래량을 바탕으로 상승 폭을 확대, 기어코 2% 고지에 올라섰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날보다 436.47포인트(1.14%) 오른 3만8790.56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토픽스는 장 마감을 앞두고 오전 상승분을 소폭 반납하며 마감했다. 종가는 전날 대비 20.17포인트(0.73%) 상승한 2781.35에 마감했다.

중화권 증시도 1% 넘는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국 상하이와 선전 증권거래소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은 장 마감을 앞두고 매수세가 몰렸다.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45.28포인트(1.17%) 오른 3903.18에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8.00포인트(1.12%) 상승 마감했다.

급등 출발한 대만 증시 자취안지수는 마감까지 추세를 이어갔다. 종가는 전일 대비 456.74포인트(2.10%) 오르며 2만2188.76에 거래를 마쳤다.

우리 시간 오후 4시 15분 기준,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510.14포인트(2.15%) 올라 2만4199.27에 거래 중이다. 이 밖에 인도 센섹스지수는 1.21% 상승장을, 싱가포르 ST 종합지수는 0.58% 강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오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이란의 12일 전쟁이 완전하고 영구적으로 중단(ceasefire)됐다”라고 발표했다. 시장은 이를 트럼프 리스크 완화 신호로 해석 중이다.

중동 리스크 완화는 곧 국제유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공급 차질에 대한 우려가 감소하는 한편, 인플레이션 압력도 줄었다.

이날 카일 로다(Kyle Rodda) 캐피털닷컴의 수석 분석가는 가디언을 통해 “휴전에 대한 기대감이 곧 국제유가의 프리미엄을 제거했다”라며 “변동성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주가 반등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527,000
    • +0.4%
    • 이더리움
    • 3,993,000
    • -1.26%
    • 비트코인 캐시
    • 689,500
    • -2.89%
    • 리플
    • 3,767
    • +2.25%
    • 솔라나
    • 216,600
    • -3.26%
    • 에이다
    • 965
    • -4.74%
    • 트론
    • 408
    • +1.49%
    • 스텔라루멘
    • 534
    • +16.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190
    • -2.47%
    • 체인링크
    • 20,370
    • -3.55%
    • 샌드박스
    • 388
    • -2.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