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제조업 호전, 제조업은 악화"…기업 경기전망 3년4개월째 부정적

입력 2025-06-2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7월 BSI 94.6…수출 둔화·중동 분쟁에 제조업 부진 전망
여름휴가 수요·추경 효과로 비제조업은 긍정 전환

(출처=한국경제인협회)
(출처=한국경제인협회)

국내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3년 넘게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은 수출 둔화와 지정학적 불확실성에 따라 부진한 반면, 비제조업은 계절적 수요와 내수 부양책에 힘입어 경기 심리가 호전됐다.

25일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가 94.6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BSI는 2022년 4월부터 3년 4개월 연속 기준치를 밑돌고 있다.

BSI가 기준치인 100을 넘기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 100을 밑돌면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제조업 BSI는 86.1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식음료 및 담배(112.5)가 호조 전망을 보였고, 목재·가구 및 종이는 기준선 100에 걸쳤다.

비금속 소재 및 제품(54.5), 의약품(75.0),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78.6),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81.0) 등 나머지 8개 업종은 업황 악화가 전망됐다.

한경협은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의 하반기 성장 둔화와 함께 이스라엘-이란 갈등으로 인한 중동 리스크 확산으로 제조업 전반에 부정적인 경기 심리가 확산됐다"고 풀이했다.

반면 비제조업 BSI(103.4)는 7개월 만에 긍정 전환했다. 계절적 수요가 기대되는 여가·숙박 및 외식(150.0), 운수 및 창고(111.5)를 비롯해 추경 등 내수 활성화 정책의 영향을 받는 도·소매업(106.4)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정부의 추경 편성과 내수부양 정책, 하계 휴가철에 대한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기심리 개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 본부장은 "중동발 지정학적 불안과 주요국의 하반기 성장세 둔화가 기업 경영에 여전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주력 수출시장의 다변화, 주요국과의 통상 갈등에 대한 사전 대응체계 구축, 핵심 산업의 공급망 안정성 점검을 통해 제조업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6월 BSI 실적치는 93.5로 조사됐다. 2022년 2월(91.5)부터 3년 5개월 연속 부진한 모습이지만, 지난달(91.1)에 비해 2.4포인트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가 콕 짚은 “제조업 재건”…韓 대표기업, 美 투자 시계 다시 돈다
  • 단독 김동선 품에 안긴 아워홈, 한화그룹 본사 식당 등 계열사 잇단 수주 눈총
  • 카드사들,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력 대응⋯서버 증설·마케팅 검토
  • 덕질도 계산이 필요한 시대…'버블 구독료 인상'의 진짜 의미?! [엔터로그]
  • 국산화의 결실…‘현궁’으로 완성된 한국형 대전차 방어체계 [리썰웨폰]
  • 유노윤호의 첫 번째 레슨…항마력 버티면 얻는 주식 투자 교본 [요즘, 이거]
  • 韓 기업 3곳 중 1곳만 ‘AI 기본법’ 이해한다는데…시행령에 쏠리는 눈
  • "그래도 2분기가 바닥"…삼성전자, 반도체 부진에 '어닝쇼크'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176,000
    • +0.29%
    • 이더리움
    • 3,506,000
    • +1.27%
    • 비트코인 캐시
    • 687,500
    • +1.55%
    • 리플
    • 3,124
    • -1.54%
    • 솔라나
    • 206,000
    • -0.63%
    • 에이다
    • 792
    • -0.63%
    • 트론
    • 391
    • +0.26%
    • 스텔라루멘
    • 346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520
    • -0.8%
    • 체인링크
    • 18,420
    • -0.32%
    • 샌드박스
    • 332
    • -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