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 만난 이창용, 가계부채·시장안정·디지털금융 과제 논의

입력 2025-06-23 1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 불확실성 속 ‘공동 대응’ 의지
디지털금융·국제표준 대응 논의도

▲간담회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아래줄 왼쪽부터) 강태영 농협은행장, 김성태 기업은행장,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황병우 아이엠뱅크 은행장,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가운데줄 왼쪽부터)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 이환주 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백종일 전북은행장, 신학기 수협은행장, 방성빈 부산은행장, 고병일 광주은행장, 김종호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윗줄 왼쪽부터) 정진완 우리은행장, 김태한 경남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은행장, 이희수 제주은행장 (사진제공=은행연합회)
▲간담회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아래줄 왼쪽부터) 강태영 농협은행장, 김성태 기업은행장,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황병우 아이엠뱅크 은행장,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가운데줄 왼쪽부터)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 이환주 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백종일 전북은행장, 신학기 수협은행장, 방성빈 부산은행장, 고병일 광주은행장, 김종호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윗줄 왼쪽부터) 정진완 우리은행장, 김태한 경남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은행장, 이희수 제주은행장 (사진제공=은행연합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국내 주요 은행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가계부채와 시장안정, 디지털금융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은행연합회는 한은과 소통을 강화하고 금융현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이 총재 초청 18개 사원은행장 만찬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만찬에서 이 총재와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환주 KB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등 은행장들은 급변하는 대내외 경제 환경과 지정학적 갈등, 내수 회복 지연 등 리스크 요인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다. 가계부채 관리, 실물경제 지원, 금융시장 안정 등 은행산업의 주요 현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조 회장은 "대내외 리스크가 중첩되고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은행권도 한은과 함께 우리 경제와 국민 삶의 안정을 위해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대응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계부채 관리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한은의 정책에 적극 협력하며 경제의 혈맥으로서 은행권 본연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최근 가계부채 상황에 대한 설명과 함께 금리 인하 기조하에서 주택시장 및 가계대출과 관련한 리스크가 재확대되지 않도록 은행권의 안정적인 가계부채 관리를 당부했다.

이 총재와 은행장들은 최근 디지털 금융 환경 변화에 대응한 은행권의 전략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무위험지표금리(KOFR) 활성화, 대출채권 담보수취 제도, 외환시장 구조개선, 국제금융전문표준(ISO 20022) 도입 등 국내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사업의 성공적 추진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정치권이 속도를 내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관한 내용도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가 콕 짚은 “제조업 재건”…韓 대표기업, 美 투자 시계 다시 돈다
  • 단독 김동선 품에 안긴 아워홈, 한화그룹 본사 식당 등 계열사 잇단 수주 눈총
  • 카드사들,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력 대응⋯서버 증설·마케팅 검토
  • 덕질도 계산이 필요한 시대…'버블 구독료 인상'의 진짜 의미?! [엔터로그]
  • 국산화의 결실…‘현궁’으로 완성된 한국형 대전차 방어체계 [리썰웨폰]
  • 유노윤호의 첫 번째 레슨…항마력 버티면 얻는 주식 투자 교본 [요즘, 이거]
  • 韓 기업 3곳 중 1곳만 ‘AI 기본법’ 이해한다는데…시행령에 쏠리는 눈
  • "그래도 2분기가 바닥"…삼성전자, 반도체 부진에 '어닝쇼크'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249,000
    • +0.62%
    • 이더리움
    • 3,515,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686,500
    • +1.85%
    • 리플
    • 3,127
    • -0.86%
    • 솔라나
    • 206,600
    • -0.19%
    • 에이다
    • 796
    • +0.51%
    • 트론
    • 391
    • +0%
    • 스텔라루멘
    • 345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550
    • +0.39%
    • 체인링크
    • 18,470
    • +0.33%
    • 샌드박스
    • 334
    • +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