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2분기 폴더블 OLED 출하량 점유율 1위

입력 2025-06-20 14: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0~1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롱비치에서 열리는 'AWE USA 2025' 삼성디스플레이 전시 부스 전경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10~1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롱비치에서 열리는 'AWE USA 2025' 삼성디스플레이 전시 부스 전경 (사진제공-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2분기 폴더블폰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출하량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20일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2분기 전체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의 52%를 차지하며, 선두에 올랐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4월 25만 대에서 5월 178만 대, 6월 153만 대로 급증했다.

중국 BOE의 2분기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180만 대였다. 또 CSOT과 비전옥스(Visionox)가 각각 90만 대와 50만 대의 출하량을 기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분기에는 약 25만 대의 폴더블폰용 OLED를 출하하는 데 그쳐 BOE나 CSOT, 비전옥스 등 중국 주요 패널 업체보다 낮은 출하량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달부터 하반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Z 플립·폴드7 시리즈의 패널 양산이 본격화하며 출하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유비리서치는 3분기에도 삼성디스플레이의 출하량 점유율이 1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의 경우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용 패널을 초기에 단독 공급하는 만큼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OLED 시장 점유율이 유지될 것으로 봤다.

글로벌 폴더블폰용 OLED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2년 총 1500만 대였던 출하량은 2023년 2180만 대, 2024년 2500만대로 증가했으며, 올해는 3080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애플이 내년에 폴더블폰 시장에 진입하고, 중국 세트 업체들의 폴더블폰 출시 제품이 증가함에 따라 폴더블폰 출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9년에는 500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창욱 유비리서치 부사장은 "갤럭시 플립·폴드7 시리즈의 본격 양산에 힘입어 삼성디스플레이는 3분기에도 가장 높은 출하량을 이어갈 것"이라며 "올해 폴더블폰 시장 전체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애플의 폴더블폰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6년부터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091,000
    • +0.41%
    • 이더리움
    • 3,684,000
    • +3.31%
    • 비트코인 캐시
    • 686,500
    • +0.22%
    • 리플
    • 3,254
    • +3.17%
    • 솔라나
    • 210,900
    • +1.79%
    • 에이다
    • 834
    • +3.47%
    • 트론
    • 395
    • +1.02%
    • 스텔라루멘
    • 395
    • +12.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160
    • +1.27%
    • 체인링크
    • 19,230
    • +2.51%
    • 샌드박스
    • 357
    • +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