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인가 전 홈플러스 M&A 위해 보통주 2조5000억원 손실 감수"

입력 2025-06-13 10: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의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이 이뤄질 경우 자사가 보유한 2조5000억 원 규모의 홈플러스 보통주를 무상 소각해 손실을 감수하겠다고 13일 밝혔다.

홈플러스 소유주인 MBK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홈플러스가 보유 부동산의 가치가 높지만 최근 영업실적이 우수하지 못해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높게 나왔다"며 "홈플러스는 청산을 피하고자 인가 전 M&A를 진행하고자 하며, 우리는 이런 결정을 지지하고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전일 회생법원에 제출된 회계법인 조사위원의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재무조사 결과 홈플러스는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더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 원칙상 회생절차를 계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 것이다. 이에 사측은 회생계획 인가 전에 우선 새 주인을 찾는 것이 회사를 존속시키는 유일한 방안이라며 법원에 인가 전 M&A 허가를 신청했다.

MBK는 "인가 전 M&A는 구주를 매각하는 통상 M&A와 달리 신주를 발행해 새 인수인이 대주주가 되는 구조"라며 "이 경우 자사가 보유한 2조5000억 원 규모의 홈플러스 보통주는 무상 소각되며, 경영권을 비롯한 모든 권리를 내려놓고 아무 대가 없이 M&A 지원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인가 전 홈플러스의 M&A가 이뤄지면 새 인수인의 유입 자금을 활용해 회생채권 등을 변제하고 대폭 부채가 감축된 상태로 정상 회사로 경영될 것으로 기대했다. MBK 측은 "이미 대한통운, 팬오션, 대한해운, 쌍용자동차, 이스타항공 등 성공적 선례가 있다"고 덧붙였다.

동북아 지역의 최대 사모펀드 운영사 MBK는 2015년 영국 유통 기업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의 지분 100%를 7조2000억 원에 인수했지만, 내수침체, 유통 불황 등이 겹치며 기업 매각에 잇달아 실패했다. 법원이 이번 인가 전 M&A 추진을 승인하면 다음 달 10일로 예정된 회생계획안 제출 시기는 연기되며, 매각 주간사 선임, 실사·입찰 등이 시작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GI서울보증보험 사흘째 먹통에 실수요자들 '발동동'…은행도 "업무마비"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2조6천억원' 땅 지분 꼬였다…압구정 3구역 재건축 위기
  • 美, AI 칩 中 수출 재승인… 삼성 '반도체 봄' 다시 오나
  •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6년, 피해자 절반은 여전히 참는 중 [데이터클립]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민생회복 소비쿠폰, 온라인·배달앱 결제 제한…소비자 불만에 해법은?
  • 범여권도 등 돌린 강선우·이진숙…대통령실 '침묵' 이유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689,000
    • +1.78%
    • 이더리움
    • 4,595,000
    • +10.09%
    • 비트코인 캐시
    • 685,500
    • +2.16%
    • 리플
    • 4,164
    • +5.6%
    • 솔라나
    • 236,900
    • +7.58%
    • 에이다
    • 1,050
    • +5.21%
    • 트론
    • 417
    • +0.97%
    • 스텔라루멘
    • 634
    • +3.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50
    • +11.74%
    • 체인링크
    • 22,900
    • +6.22%
    • 샌드박스
    • 437
    • +4.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