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제조업 GDP 24.5%, '미ㆍ중' 의존⋯"주요 경쟁국 중 가장 높아"

입력 2025-05-2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 제조업 GDP, 00년→23년 3배 증가
해외 수요 의존도 '52.7%→58.4%' 늘어

▲2000→2023년 세계 제조업 GDP 중 주요국 제조업 GDP 비중. (자료제공=경총)
▲2000→2023년 세계 제조업 GDP 중 주요국 제조업 GDP 비중. (자료제공=경총)

우리나라 제조업 국내총생산(GDP)의 해외 수요 의존도가 급증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비중이 24.5%로 주요 제조업 경쟁국보다 높아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할 경우 생산에 큰 차질이 발생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우리 제조업 국내 및 해외 수요 의존도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2023년 우리 제조업 GDP는 4838억 달러로, 2000년 1612억 달러 대비 세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우리 제조업 GDP의 해외 수요 의존도는 52.7%에서 58.4%로 늘었다.

▲2000→2023년 우리 제조업 GDP의 국내 및 해외 수요 의존도. (자료제공=경총)
▲2000→2023년 우리 제조업 GDP의 국내 및 해외 수요 의존도. (자료제공=경총)

2023년 우리 제조업 GDP(4838억 달러)의 41.6%(2014억 달러)는 국내 수요, 58.4%(2824억 달러)는 해외 수요로 각각 유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에 비해 2023년 우리 제조업 GDP 국내 수요 의존도는 감소(47.3%→41.6%)하고 해외 수요 의존도는 증가(52.7%→58.4%)하면서 해외 수요가 우리 제조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업 GDP 해외 수요 의존도가 국내 수요보다 더 높은 우리나라, 독일과 달리 미국, 중국, 일본은 제조업 GDP의 자국 내 수요 의존도가 더 높았다. 미국(75.9%)과 중국(70.1%) 제조업 GDP의 자국 내 수요 의존도는 70%를 넘었고 일본(59.4%)도 절반 수준을 웃돈 것으로 분석됐다.

▲2023년 주요 제조업 GDP의 자국 내 및 해외 수요 의존도. (자료제공=경총)
▲2023년 주요 제조업 GDP의 자국 내 및 해외 수요 의존도. (자료제공=경총)

2023년 우리 제조업 GDP의 국가별 수요 의존도는 미국(13.7%)이 가장 높았고 중국(10.8%)과 일본(2.6%)이 뒤를 이었다. 다만 2000년 대비 2023년 우리 제조업 GDP의 미국 수요 의존도는 감소(14.8%→13.7%)한 반면 중국 수요 의존도는 두 배 이상 증가(4.8%→10.8%)한 것으로 분석됐다.

▲2000→2023년 우리 제조업 GDP 국가별 수요 의존도. (자료제공=경총)
▲2000→2023년 우리 제조업 GDP 국가별 수요 의존도. (자료제공=경총)

특히 우리 제조업 GDP의 미・중 수요 의존도는 24.5%로 주요 제조업 경쟁국(일본 17.5%, 독일 15.8%)보다 높았다. 미ㆍ중 간 무역 갈등이 심화하고 양국 경제활동이 위축될 경우, 다른 경쟁국보다 우리 제조업 생산에 더 큰 차질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되는 대목이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로 해외 수요 의존도, 특히 미ㆍ중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우리 제조업의 어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제조업 뒷받침 없이는 우리 경제의 재도약을 기대할 수 없는 만큼 제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청년실업] 세계 청년들의 좌절…일자리가 없다
  • “GPU 5만 장 확보” 현실성 있나…이재명式 AI 인프라 공약 뜯어보니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 '관세폭탄'에 美 재고 바닥⋯현대차ㆍ기아 차값 인상 불가피
  • 트럼프 “미국, 이스라엘-이란 분쟁 개입할 수도 있어”
  • 폭염에 폭우까지 오락가락…올여름 '장마 피해' 더 커질 수 있다고? [이슈크래커]
  • “메모리ㆍ기판 소비전력 낮춰라”⋯반도체 기업도 기술 개발 박차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上]
  • 美서 힘 빠진 태양광, 소재ㆍ재활용 신사업 확장
  • ‘예스24’ 사태가 불러온 ‘디지털 소유권 환상론’…타 업계로도 번져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049,000
    • +1.98%
    • 이더리움
    • 3,636,000
    • +2.92%
    • 비트코인 캐시
    • 641,000
    • -0.93%
    • 리플
    • 3,185
    • +6.1%
    • 솔라나
    • 217,200
    • +2.6%
    • 에이다
    • 900
    • +2.86%
    • 트론
    • 382
    • +1.33%
    • 스텔라루멘
    • 368
    • +3.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900
    • +0.83%
    • 체인링크
    • 19,230
    • +5.37%
    • 샌드박스
    • 379
    • +4.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