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노크' 스페클립스, 기술특례상장 모의 기술성 평가 A등급 획득

입력 2025-05-19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닥 상장에 도전하고 있는 레이저·인공지능(AI) 기반 피부 치료 및 피부암 진단 전문기업 스페클립스는 최근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모의 기술성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스페클립스는 2023년 레이저 광학 연구개발 기업 케이엘과 합병을 계기로 펄스 레이저 기반의 의료기기 제조 플랫폼 기술을 완성하며 레이저 기반 피부 미용·치료 의료기기와 피부암 진단 의료기기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 제품은 300피코초 레이저를 적용한 미용·치료 의료기기 ‘피코케이(PICO-K)’, 레이저 분광 기술과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조직 검사 없이 피부암을 실시간 진단하는 ‘스펙트라 스코프(Spectra-Scope)’, AI 기반 피부 병변 변화 추적 솔루션 ‘더맵(DerMap)’ 등이 있다.

회사는 합병 이후 양사 간 시너지를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했으며, 레이저 핵심 부품인 공진기와 파워서플라이 등을 모두 직접 생산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췄다. 이를 바탕으로 24년 7월 K2 인베스트먼트, KB-솔리더스 헬스케어 투자조합, 신영-BSK 디지털 혁신 뉴딜 투자조합 등이 참여한 360억 규모의 Pre-IPO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스페클립스는 투자 유치 이후 기존 변성현-홍정환 각자 대표 체제에서 홍정환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해 사업 부문 간 유기적 결합과 수익구조 개선을 이뤘다. 변성현 전 대표는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자리를 옮겨 기술 개발과 연구개발(R&D) 분야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며 성공적인 인수/합병 후 통합(PMI)을 완성했다.

구체적 성과도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회사의 2024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3배가량 성장한 약 111억 원을 기록했으며, 합병 이후 약 1년 반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도 성과를 거두면서 2024년 해외 매출 비중은 47.5%에 달하며, 200만 달러 수출의 탑도 수상했다. 그 결과, 이번 모의 기술성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하며 스페클립스의 핵심 기술과 성장 가능성을 외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홍정환 스페클립스 대표이사는 “AI와 레이저 기술이 결합한 피부 진단 및 치료 솔루션을 통해 피부 병변 진단부터 치료, 미용 등 전 영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기술특례상장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세계 수준의 토탈 의료기기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라고 밝혔다.

회사는 올해 하반기 기술특례상장에 도전, 2026년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하고 있다. 상장을 위한 주관사로는 한국투자증권이 선정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과 전쟁 돌입…핵시설 3곳 폭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미사일 보복' 나선 이란… "이스라엘 상공에 폭발음"
  • 범접 메가크루 반응 터졌는데…허니제이ㆍ아이키, 언행 논란으로 '찬물'
  • 'K-AI' 기대감에 '국민주' 네카오 불기둥 행렬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500,000
    • -2.83%
    • 이더리움
    • 3,045,000
    • -5.43%
    • 비트코인 캐시
    • 623,000
    • -4.81%
    • 리플
    • 2,740
    • -4.96%
    • 솔라나
    • 180,300
    • -3.69%
    • 에이다
    • 732
    • -5.91%
    • 트론
    • 365
    • -4.45%
    • 스텔라루멘
    • 311
    • -5.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40
    • -2.55%
    • 체인링크
    • 15,730
    • -5.7%
    • 샌드박스
    • 317
    • -4.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