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 '탄핵 수용' 거부…본지 질의에 "답 어렵다"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국회 탄핵소추가 확실시되던 1일 밤 복수의 국민의힘 의원으로부터 "스스로 사퇴하지 말고 탄핵소추를 당해줬으면 한다"는 취지의 연락을 받은 것으로 뒤늦게 파악됐다.
19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최 전 부총리는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의 국회 본회의 상정이 예고된 1일 밤 국민의힘 의원들로부터 이러한 내용의 전화를 받았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최 전 부총리가 그날 밤 국힘 여러 의원에게 '스스로 사퇴하지 말고 탄핵(소추)을 당하라'는 연락을 받은 것으로 안다"며 "직무에서 배제된 채로 쉬다가 정권이 바뀐 후 불명예스럽게 교체되라는 건데 선거를 염두에 둔 것 아니겠나.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당시 최 전 부총리는 국회 본회의에 탄핵소추안이 상정되면 자진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주변에 알렸다. 6·3 대선을 한 달여 앞둔 상황에서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 직무정지 상태로 다음 정부를 맞는 만큼 직을 유지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판단에서다. 국무위원 탄핵소추 의결정족수는 재적의원 과반(151명) 찬성으로, 민주당 자체 의석(170석)으로 처리할 수 있다.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전화 여부는 모르겠지만, 확실히 부총리가 자진 사퇴하는 것보다 탄핵되는 것이 선거에 나은 부분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최 전 부총리는 이러한 '탄핵 수용'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일 밤 10시 28분 자신에 대한 탄핵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되자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사의를 밝혔고, 이후 사표가 수리되면서 탄핵 추진은 표결 불성립으로 종결됐다.
관련 뉴스
당시 최 전 부총리에게 전화를 건 국민의힘 의원이 누구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 전 부총리와 친분이 있는 기재부 출신 의원이나 지도부 인사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본지는 이들 다수에게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거나 사실무근이라는 취지의 입장을 전해왔다. 최 전 부총리는 당시 사퇴를 만류한 국민의힘 의원이 누군지, 그러한 요구에 어떻게 답했는지 묻는 본지 질문에 "답변이 어려운 점 이해하리라 믿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