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부터 '국산 농산물 전 품목' 할인지원⋯지원액은 2배로

입력 2025-05-16 1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범석 기재부 1차관, 물가관계차관회의 주재⋯정부 비축물량 방출도 확대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활용해 22일부터 2주간 농산물 할인지원 품목을 국산 농산물 전 품목으로 확대한다. 지원액도 2배 상향한다.

기획재정부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범석 1차관 주재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이 같은 ‘계란 산지가격 유통구조 점검 결과 및 조치계획’과 ‘석유류·농축수산물 품목별 가격동향 및 대응계획’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회의에서 “최근 배추·무·감자 등 봄 채소 출하가 본격화하고 있으나, 무·양파·마늘·돼지고기·계란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이 여전히 높은 만큼 품목별 가격·수급 관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먼저 추경을 활용해 22일부터 2주간 농산물 할인지원 품목을 국산 농산물 전 품목으로 확대한다. 품목은 각 유통업체가 자율적으로 선정한다. 지원액은 1인당 1만 원에서 2만 원으로 높인다.

아울러 재고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한 깐마늘에 대해서는 19일부터 정부 비축물량 450톤을 추가 방출한다. 돼지고기 등 축산물은 자조금 활용 할인행사를 31일까지 진행하고, 돼지고기 원료육(1만 톤) 할당관세를 적용받는 수입업체와 함께 햄·소시지 등 가공식품 할인도 추진한다. 수산물 중 최근 소비 수요가 많은 갈치와 오징어에 대해선 정부 비축물량 공급 규모를 각각 400톤에서 500톤으로, 600톤에서 700톤으로 확대해 어한기(5~6월) 공급 감소에 대응한다.

한편, 7~9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계란 농가를 방문해 생산량과 재고량, 산지가격과 실거래가격을 점검한 결과, 3월 산지가격이 수급여건 대비 과도하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개당 산지가격은 2월 146원에서 3월 180원으로 23.3% 올랐다. 정부는 산지가격 인상요인을 추가 점검하고, 담합 등 불공정행위 혐의가 확인되면 관련법에 따라 엄중히 처벌할 예정이다.

이 밖에 정부는 석유류 가격이 1일 유류세 일부 환원 이후 안정적인 흐름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김 차관은 관계부처에 “환원분 이상의 과도한 석유류 가격 인상이 없도록 가격 모니터링과 석유시장 현장점검을 지속해 나가 달라”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599,000
    • -0.68%
    • 이더리움
    • 4,023,000
    • -2.12%
    • 비트코인 캐시
    • 705,000
    • -0.98%
    • 리플
    • 3,808
    • +7.91%
    • 솔라나
    • 220,100
    • -1.7%
    • 에이다
    • 983
    • +0.61%
    • 트론
    • 413
    • +2.74%
    • 스텔라루멘
    • 541
    • +29.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910
    • -1.59%
    • 체인링크
    • 20,780
    • -1.52%
    • 샌드박스
    • 394
    • -1.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