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신성장추진단, AI 신약개발 기술현황 점검·지원 논의

입력 2025-05-15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기획재정부. 조현호 기자 hyunho@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가속화 방안을 연구기관·업계 등과 논의했다.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은 15일 목암생명과학연구소에서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AI위원회, 국가바이오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AI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한 신성장 4.0 민관협의체'를 개최했다.

협의체에는 목암생명과학연구소, KAIST,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등 연구·산업 지원기관과 대웅제약, 삼진제약 등 제약사가 참여했다.

최근 AI가 바이오 산업 전반에 빠르게 확산하면서 신약개발, 단백질 구조예측·설계, 유전자 치료 등 바이오 전 분야의 핵심 기술로 부상했다. 이에 관련 AI 기술을 선제 확보해 바이오 산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AI 바이오 시장은 연평균 19.1% 성장해 2029년 77조5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지난달 기준 AI 바이오 특허 출원 건수 세계 3위(1위 중국) 수준, 관련 논문 발표 건수는 9위(1위 미국) 수준이다.

추진단은 이날 간담회에 앞서 국내 최초 민간 비영리 연구재단인 목암생명과학연구소에서 'K-MELLODDY'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해당 사업은 대웅제약, 삼진제약 등 제약사, 병원 등으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제공받아 연구기관이 AI 모델을 개발하고 약물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내용이다. 복지부와 과기부가 공동 주관해 2024~2028년 348억 원을 지원한다.

이어진 간담회에선 AI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 및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발제와 관련 업계 애로사항, 민관 협력 및 정부지원 방향 등이 논의됐다. 기업들은 AI 개발 목적의 데이터 활용 및 인프라 접근성 완화 등 규제 개선 사항을 건의하는 한편 산학연계를 통한 적극적 인력양성 및 AI 기반 예측모델 심사 기준 마련 등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신상훈 단장은 "AI 기반 신약개발이 실패 확률이 높은 기존의 개발방식을 혁신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환자 맞춤형 치료 시대를 앞당기는 핵심수단이 될 것"이라며 "관련 제도, 인프라, 인재양성 등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용역ㆍ강사비ㆍ겸직 '제멋대로'…자본시장연구원 내부통제 ‘구멍’
  • [날씨] 찜통 넘어 '압력밥솥' 더위…서울ㆍ대전ㆍ광주 체감온도 35도 육박
  • 오늘은 유두절, 다소 생소한 유두절 뜻은?
  • SK쉴더스 민기식號, 경영 키워드 '인재'⋯분할매각ㆍ구조조정 '일축'
  • 주담대 누르니 '마통' 급증⋯한 달 새 4687억 늘었다
  • '연15% 수익률' 국민연금, '금융·증권·지주' 투자비중 늘렸다
  • 40도 찍은 한반도, 극한 폭염 원인은?
  • 尹 전 대통령 재구속 기로⋯“공수처 수사권 쟁점” vs “증거인멸 우려 있어”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12: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002,000
    • +0.31%
    • 이더리움
    • 3,544,000
    • +2.22%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1.69%
    • 리플
    • 3,145
    • +1.68%
    • 솔라나
    • 206,900
    • +1.72%
    • 에이다
    • 799
    • +1.52%
    • 트론
    • 393
    • +0.26%
    • 스텔라루멘
    • 355
    • +5.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620
    • -1.15%
    • 체인링크
    • 18,920
    • +4.47%
    • 샌드박스
    • 338
    • +2.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