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폭탄 대응…정부, 847억 투입해 2000개 수출기업 지원

입력 2025-05-1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추경 통해 관세대응 바우처 사업 확대…패스트트랙·인증 원스톱 신설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정부가 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응해 847억 원 규모의 추경 예산을 투입, 중소·중견 수출기업 약 2000개 사를 지원하는 ‘관세대응 바우처’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KOTRA)는 '관세대응 바우처' 추경 사업에 참여할 수출기업 모집을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에 대응해 편성된 847억 원 규모의 추경 예산을 활용해 약 2000개사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산업부는 4월 2일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 직후 1차로 긴급 공고를 내고 200개 사를 모집한 바 있으며, 500개 사가 신청하며 높은 수요를 확인했다.

이번 추경 사업에서는 지원 대상을 기존 직수출 기업에서 △국내 간접수출 기업 △해외 수출 제조기업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업체까지로 확대한다.

관세대응 바우처는 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해 검증된 현지 파트너사와 연계해 △피해분석 △대응전략 △생산거점 이전 △대체시장 발굴 등 총 500여 개의 ‘관세대응 패키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추경을 통해 여기에 해외인증 획득을 돕는 ‘해외인증 원스톱 서비스’와 ‘특수분야 인증 사전 컨설팅’이 새로 추가된다.

특히 인증 실패 시 기업이 부담해야 했던 비용 부담도 완화된다. 과제를 성실히 수행했음에도 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비용 보전율은 기존 50%에서 70%로 상향 조정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기업들의 인증 시도 유인을 높이고 해외시장 진입 장벽을 낮춘다는 계획이다.

또한, 미국의 관세 대상 업종 중 시급한 대응이 필요한 기업을 위한 ‘패스트트랙’도 신설됐다. 최소 요건만 충족하면 선정 절차를 간소화해 기존 1개월 이상 걸리던 절차를 단축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조치로 인한 우리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세 대응 바우처’를 마련했다"라며 "중기부 등과 협업해 기업 지원대상 및 규모를 확대하고 우리 수출기업 애로 해소를 위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KOTRA는 이달 20일 이번 추경 사업 관련 사업신청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하고 사업대상, 제출서류, 지원내용 등을 상세히 안내할 예정이다.

KOTRA는 5월 20일 온라인 설명회를 열어 신청 방법, 지원 요건, 제출서류 등을 상세히 안내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수출바우처 누리집(exportvoucher.com)이나 콜센터(02-6004-84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장마 시작, 진짜 여름이 온다…올해 장마는 얼마나 빠를까? [그래픽 스토리]
  • 불균형 심한 부동산…정상화 로드맵이 필요하다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①]
  • 군 제대로 복귀 신호탄 쏜 BTS…이들에게 선택받은 차량은 [셀럽의카]
  • 단독 방산 M&A 균열?… 한화-오스탈, 美 승인 놓고 엇갈린 해석
  • 공정위, 대한항공 마일리지 통합안 퇴짜..."수정·보완 요청"
  • 단독 예스24, '알라딘 해킹 사태' 당시 출판협회 보안 조사 거절해
  • '소간지'에서 'K-존 윅'으로…배우 소지섭이 사는 한남더힐은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572,000
    • -2.19%
    • 이더리움
    • 3,787,000
    • -4.13%
    • 비트코인 캐시
    • 597,500
    • -2.05%
    • 리플
    • 3,081
    • -3.51%
    • 솔라나
    • 218,100
    • -4.8%
    • 에이다
    • 939
    • -6.19%
    • 트론
    • 378
    • -5.5%
    • 스텔라루멘
    • 376
    • -3.0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410
    • -8.19%
    • 체인링크
    • 19,800
    • -7.56%
    • 샌드박스
    • 386
    • -6.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