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운용 SOL 화장품TOP3플러스 ETF 1개월 수익률 30% 돌파

입력 2025-05-12 09: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한자산운용은 국내 화장품 밸류체인 핵심 기업에 투자하는 ‘SOL 화장품TOP3플러스 상장지수펀드(ETF)의 9일 기준 최근 1개월 수익률이 34.24%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에이피알, 한국콜마 등 국내 주요 화장품 기업들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하자 화장품 업종 전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결과라고 신한자산운용은 설명했다. 같은 기간 SOL 화장품TOP3플러스 상위 편입 종목인 에이피알은 63.3% 상승했다. 톱(top)3 종목에 해당하는 실리콘투와 코스맥스, 아모레퍼시픽은 각각 57.7%, 29.1%, 24% 올랐다.

SOL 화장품TOP3플러스는 국내 화장품 밸류체인 중 유통, ODM, 브랜드 각 분야 1위 기업인 실리콘투, 코스맥스, 아모레퍼시픽을 약 60% 비중으로 투자한다. 이외에도 한국콜마, 코스메카코리아 등 ODM 기업과 브이티, 에이피알 등 글로벌 매출이 두드러진 브랜드 기업들을 선별해 담는다.

한국식 화장법과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며 K-뷰티는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지난해 국내 화장품 수출액은 사상 처음 100억 달러를 넘기며 ’뷰티 강국‘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 시장 수입 점유율 1위에 올랐다.

이런 흐름은 올해 1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다. 1~3월 한국 화장품 수출은 동월 기준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또 미국 정부의 보편관세 이슈에도 지난달 미국 수출은 오히려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총괄본부장은 “비즈니스 구조 변화, 미국 등 글로벌 전역으로 다변화하는 수출, 지속 성장하는 해외 매출 등 국내 화장품 산업을 둘러싼 변화요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가격 경쟁력과 함께 유연한 비용구조, 현지 법인을 활용한 유통 전략 등으로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도 한국 화장품 산업 핵심 기회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시장은 조선, 방산과 함께 화장품처럼 수익성과 성장성이 견조한 업종을 주목해야 한다”며 “중국의 경기 부양 정책과 한한령 해제 기대감, 화장품 수요 회복의 조짐이 함께 맞물리고 있어 화장품 업종의 추가적 상승 여력이 기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짝퉁 천국 아니었어?"…Z세대에게 통한 중국의 '새 얼굴' [솔드아웃]
  • 與 새 원내사령탑에 '3선 김병기'…"李성공 뒷받침"
  • [종합] 관세 어려움 토로한 최태원 회장…이재용 회장은 “李 자서전 읽어봤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외교부,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우리 국민 피해 접수 없어”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255,000
    • -0.52%
    • 이더리움
    • 3,523,000
    • -4.84%
    • 비트코인 캐시
    • 605,500
    • +2.11%
    • 리플
    • 2,963
    • -2.66%
    • 솔라나
    • 202,700
    • -5.06%
    • 에이다
    • 882
    • -4.44%
    • 트론
    • 376
    • +0.27%
    • 스텔라루멘
    • 359
    • -3.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630
    • -0.12%
    • 체인링크
    • 18,220
    • -6.42%
    • 샌드박스
    • 368
    • -3.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