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약 1000억 원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올해 들어 9000억 원 규모

입력 2025-05-12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셀트리온 사옥 전경 (사진제공=셀트리온)
▲셀트리온 사옥 전경 (사진제공=셀트리온)

셀트리온은 이사회를 통해 약 1000억 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소각을 결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소각하는 자사주는 약 58만9276주로 21일 소각이 이뤄질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이날 결정분을 포함하면 올해 1월 이후 이미 소각 완료했거나 결정한 자사주 소각 규모는 지난해 약 7000억 원을 뛰어넘는 약 9000억 원에 달한다. ‘올해 매입한 자사주를 전량 소각한다’는 방침에 따르면 올해 연간 조 단위 자사주 소각이 이뤄질 전망이다.

자사주 매입도 활발해 지난달 28일 1000억 원 규모의 결정분을 포함하면 올해 자사주 매입 규모는 약 4500억 원으로 전년도 약 4360억 원을 넘어섰다. 특히 지난달 서정진 셀트리온 그룹 회장이 약 500억 원 규모 자사주를 장내 매수키로 하면서 책임경영에 나섰고,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가 1000억 원, 그룹내 계열사 셀트리온스킨큐어가 500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

최근에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우리사주를 진행해 약 400억 원 규모로 청약을 마감했다. 신청 인원은 약 850명에 달한다.

셀트리온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과 공매도 정책 등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미래 성장에 확신을 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과 시장 경쟁력 강화를 지속하고 있다. ‘2025년까지 11종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지난해 조기 달성하고, 2030년 22종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의 글로벌 임상 절차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는 등 2028년까지 13개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특히 향후 3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을 목표로 하는 밸류업 프로그램도 적극 실천하며, 향후에도 업계 최고 수준의 주주친화정책을 지속해 주주들의 이익 보호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속되는 불확실성 확대와 기업가치 저평가 속에서도 셀트리온은 과감한 혁신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빅파마로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주주가치 제고를 최우선으로 여기며 회사와 투자자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554,000
    • -0.26%
    • 이더리움
    • 4,006,000
    • -1.09%
    • 비트코인 캐시
    • 703,000
    • -0.78%
    • 리플
    • 3,767
    • +5.02%
    • 솔라나
    • 218,600
    • -1.75%
    • 에이다
    • 974
    • -2.21%
    • 트론
    • 410
    • +1.99%
    • 스텔라루멘
    • 540
    • +23.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830
    • -1.1%
    • 체인링크
    • 20,600
    • -1.76%
    • 샌드박스
    • 393
    • -1.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