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제약,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DW4421’ 임상 3상 IND 신청

입력 2025-05-12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산 네 번째 P-CAB 신약 목표 개발

▲대원제약 CI (사진제공=대원제약)
▲대원제약 CI (사진제공=대원제약)

대원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DW4421’(성분명 Padoprazan)의 임상 2상을 마치고, 3상 진입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계획(IND)에 대한 승인을 신청했다고 12일 밝혔다.

DW4421은 대원제약이 네 번째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CAB) 국산 신약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치료제다. P-CAB 계열은 약효 발현 속도가 빠르고 음식 섭취와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어, 기존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대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대원제약은 올해 2월 DW4421 국내 임상 2상을 완료했다. 임상 2상은 미란(점막 결손)성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 14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피험자들은 ‘DW4421 고용량‘, ‘DW4421 저용량‘과 ‘활성대조약’ 세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돼 최대 8주간 1일 1회 경구 투여 후 2주간의 안전성 추적 관찰 기간을 거쳤다.

연구 결과, 유효성 평가 기준인 ‘점막 결손이 완전히 치유된 대상자 비율’ 및 ‘자각증상 개선도(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증상 개선 정도)’ 모두에서 DW4421의 모든 용량군이 활성 대조군 대비 높은 치료율을 보였으며, 안전성 및 내약성 측면에서도 우수함이 확인됐다.

대원제약은 지난달 30일 식약처에 임상 3상 시험 계획을 신청했다. 신청 내용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대상 DW4421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와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대상 DW4421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등 2건이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이번 임상 2상에서 DW4421 두 용량 모두 대조군 대비 높은 치료율과 안전성 및 내약성 부분에서 우수함을 확인한바 3상 진입과 함께 적응증 획득을 위한 연구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원제약은 지난해 5월 일동제약 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인 유노비아와 P-CAB 신약 공동 개발 및 라이선스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대원제약은 유노비아가 도출한 후보물질(DW4421)에 대한 후속 임상을 진행해 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주 4.5일제, 중소제조업에겐 '그림의 떡'…생산성·인건비 부담"
  • 폐기 관측 깨고 통합 '에이전트'로…삼성 AI, 이렇게 진화했다
  • 홍명보호, 한일전 패배…동아시안컵 우승 헌납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범접, '스우파3' 충격 탈락
  • ‘BBB 플랫폼’ 각축전…치매·파킨슨병 신약 열쇠 쥔 기업 어디
  • ‘트리플 역세권’ 잠실 르엘…대출 규제에 열기는 한 김 식어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173,000
    • -1.86%
    • 이더리움
    • 4,284,000
    • +4.01%
    • 비트코인 캐시
    • 680,500
    • -1.52%
    • 리플
    • 3,998
    • -0.97%
    • 솔라나
    • 224,200
    • +0.99%
    • 에이다
    • 1,021
    • +1.59%
    • 트론
    • 412
    • -0.72%
    • 스텔라루멘
    • 619
    • -0.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790
    • +1.38%
    • 체인링크
    • 22,060
    • +1.99%
    • 샌드박스
    • 427
    • +1.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