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업 성장 덕”…롯데쇼핑, 1분기 영업익 전년비 29% 증가

입력 2025-05-09 09: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매출,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

롯데몰 하노이ㆍ인니 백화점 등 매출 성장

▲롯데백화점 본점 전경. (사진제공=롯데쇼핑)
▲롯데백화점 본점 전경. (사진제공=롯데쇼핑)

롯데쇼핑이 경기 침체에도 해외 사업 성장으로 1분기 영업이익이 성장곡선을 그렸다.

롯데쇼핑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1분기 매출이 3조4568억 원(총매출 4조89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고 9일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29% 증가한 1482억 원이다.

매출은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이상기후 등 어려운 경영환경으로 소폭 감소했다. 다만 해외 사업의 성장으로 선방했다고 롯데쇼핑은 설명했다. 특히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1분기 매출은 21.9% 증가하며 베트남 백화점 전체 매출이 33.8%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인도네시아 백화점 매출 또한 2.7% 증가했다. 해외 할인점 역시 베트남에서 8.2%, 인도네시아에서 10%의 매출 증가율을 보이며 해외 사업 전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5% 성장했다,

롯데쇼핑의 영업이익은 전 사업부에 걸쳐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수익성 개선 노력과 더불어 백화점의 타임빌라스, 마트의 그랑그로서리 등 점포 리뉴얼 효과, 해외 사업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국내에서 타임빌라스 수원을 비롯해 롯데백화점 본점과 잠실점 등 주요 점포의 리뉴얼을 진행했으며, 올해 1월 롯데마트 천호점을 새롭게 오픈했다. 해외에서는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가 오픈 이후 6분기 만에 흑자를 달성한 성과를 거뒀다. 해외 할인점 또한 영업이익이 20.6% 증가하는 등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이마트는 3년 7개월 만에 매출이 0.7% 성장하며 상승세로 전환했고, 영업이익 적자 폭 역시 축소되고 있다. 홈쇼핑 역시 고수익 상품 판매 확대와 비용 효율화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22.9% 증가하는 등 수익성을 개선했다.

김원재 롯데쇼핑 재무본부장은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해외 사업의 성장과 전 사업부의 꾸준한 수익성 개선 노력 덕분에 30% 가까이 영업이익이 신장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을 안정적으로 확장하고, 국내 주요 점포의 리뉴얼과 신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고객의 첫번째 쇼핑 목적지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평당 4600만원대 진입"…끝 모를 서울 분양가 상승세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모수개혁은 한계, 통합적 구조개혁 필요 [다시 연금개혁]
  • "7~8월 누진세 구간 완화"…여름 전기요금 폭탄 면할까
  • 소버린 AI, ‘자립’에서 ‘확장’으로⋯글로벌 기술패권 노린다 [이재명표 AI 전략]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위협에도 상승…다우지수 0.2%↑
  • 12만 달러 뚫은 비트코인, 숨 고르기…연말 15만 달러 조준 [Bit코인]
  • '불꽃야구' 성남고 2차전, 문교원의 짜릿한 역전타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081,000
    • -3.57%
    • 이더리움
    • 4,080,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670,000
    • -4.15%
    • 리플
    • 3,902
    • -2.57%
    • 솔라나
    • 219,000
    • -2.93%
    • 에이다
    • 987
    • -4.08%
    • 트론
    • 409
    • -0.49%
    • 스텔라루멘
    • 609
    • -7.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190
    • -3.75%
    • 체인링크
    • 21,160
    • -2.98%
    • 샌드박스
    • 411
    • -6.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