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인더, 산업자재ㆍ필름 선방에 2Q 외형과 내실 모두 잡았다

입력 2019-08-09 14: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매출액ㆍ영업익 모두 상승…중단사업손실 증가 등으로 당기순익은 감소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올 2분기 고부가 산업자재 제품과 필름 등 제조부문의 선방으로 외형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9일 영업(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1조 149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4%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16억 원으로 7.48% 늘어난 반면 계속사업세전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34억 원, 152억 원으로 30.05%, 47.68%씩 급감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액은 8.59%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26.87% 증가했다. 계속사업세전이익은 6.98% 줄었으며 당기순이익은 24.38% 감소했다.

매출액은 산업자재와 필름을 필두로 한 제조군의 판매 물량이 확대되면서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원료가 안정화 추세 속에서 판매 물량 확대, 아라미드 등 고부가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 필름사업의 턴어라운드 및 기타부문의 흑자전환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그러나 세전이익과 순이익은 해외 종속회사 처분손실 등 반영과 중단사업손실 증가 영향으로 감소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3분기에는 패션부문이 비수기에 접어들지만 산업자재 부문의 판매 증가 및 필름·전자재료 부문의 흑자는 지속돼 제조군의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아라미드 등 고부가 제품들의 판매 비중을 확대하고 판가 인상을 통한 수익성 제고에 지속적으로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올해 하반기에는 원료가 하락, 환율 상승 등의 외부요인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가동률이 상승중인 몇몇 증설분이 실적 상승의 또 다른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작년 코오롱인더스트리의 글로벌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구축된 베트남 타이어코드 공장이 빠르게 최적화됨으로써 하반기부터 매출 확대에 기여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하반기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고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되면 회사의 투명폴리이미드 필름(브랜드명 CPI®) 역시 추가적인 실적 상승의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멤버는 쏘스뮤직 연습생 출신…민희진, 시작부터 하이브 도움받았다"
  • 임영웅·아이유·손흥민…'억' 소리 나는 스타마케팅의 '명암' [이슈크래커]
  • 중소기업 안 가는 이유요?…"대기업과 월급 2배 차이라서" [데이터클립]
  • "이더리움 ETF, 5월 승인 희박"…비트코인, 나스닥 상승에도 6만6000달러서 횡보 [Bit코인]
  • 반백년 情 나눈 ‘초코파이’…세계인 입맛 사르르 녹였네[장수 K푸드①]
  • "법인세 감면, 재원 다변화" 긍정적…'부부합산과세'도 도입해야 [인구절벽 정책제언①-2]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류현진, kt 상대 통산 100승 조준…최정도 최다 홈런 도전 [프로야구 2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13: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807,000
    • -0.2%
    • 이더리움
    • 4,656,000
    • +1.06%
    • 비트코인 캐시
    • 728,500
    • -1.62%
    • 리플
    • 786
    • -0.88%
    • 솔라나
    • 225,700
    • +0.18%
    • 에이다
    • 720
    • -2.44%
    • 이오스
    • 1,216
    • -0.16%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71
    • +1.18%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3,100
    • -0.39%
    • 체인링크
    • 22,030
    • -1.56%
    • 샌드박스
    • 705
    • +0.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