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자산 2조 이상 대형법인, 지배구조공시 자율→의무화

입력 2018-03-21 12: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1년부터 전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 적용

2019년부터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들에 한해 지배구조 관련 공시 의무가 강화된다. 상법상 감사위원회 설치와 이사 중 과반수 이상 사외이사 선임 의무가 포함된다.

21일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내년부터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들, 일명 ‘대형사’를 중심으로 기업지배구조 공시 의무가 강화된다. 2016년 말 기준 현재 185개사가 해당된다.

기업지배구조 관련 현 자율공시 체제에서는 회사의 의사결정 체계나 내부통제장치 등 기업지배구조 관련 정보가 시장에 충분히 제공되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내년부터 대상 기업들은 대규모 법인에 해당돼 수시공시 의무가 강화된다. 또 상법상 감사위원회 설치와 이사 중 과반 수 이상을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등 지배구조 관련 규제가 적용된다.

기업의 공시 품질 개선을 위해 공시 보고서에 담아야 할 10개 핵심원칙을 구체화한 가이드라인도 배포한다. 가령 회사가 주주총회 일시, 장소, 의안 등 관련 정보를 충실히 제공했는지, 주총 분산 개최를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였는지, 전자투표를 실시했는지 여부 등을 살필 계획이다.

이번 조치는 기업별 기업지배구조의 비교 가능성을 제고하고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거래소 규정 개정을 통해 미공시, 허위공시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여 공시 실효성을 확보한다. 미공시, 허위공시도 공시 규정의 제재조항인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요건에 들어가는지 살펴볼 계획이다. 부실 공시에 대한 제재 수준은 추가 검토할 예정이다.

이후 금융당국과 거래소는 제도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2021년부터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의무화 대상을 확대한다. 다만, 코스닥 상장사에 대해서는 공시제도 도입 시기를 추후 검토할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배구조 개선은 회계개혁 및 기관투자자 책임 강화와 함께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3대 핵심 과제”라며 “효과적인 기업지배구조 공시 제도를 통해 기업경영의 투명성과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금융위는 향후 5월 중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 개선방안 관련 설명회를 개최한다. 핵심원칙별 가이드라인은 7월 중, 공시규정 개정은 9월 중 이뤄질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대중교통 요금 20% 환급"...K-패스 오늘부터 발급
  • "뉴진스 멤버는 쏘스뮤직 연습생 출신…민희진, 시작부터 하이브 도움받았다"
  • "불금 진짜였네"…직장인 금요일엔 9분 일찍 퇴근한다 [데이터클립]
  • 단독 금융위, 감사원 지적에 없어졌던 회계팀 부활 ‘시동’
  • "집 살 사람 없고, 팔 사람만 늘어…하반기 집값 낙폭 커질 것"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이어지는 의료대란…의대 교수들 '주 1회 휴진' 돌입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645,000
    • -2.61%
    • 이더리움
    • 4,593,000
    • -1.5%
    • 비트코인 캐시
    • 695,500
    • -5.37%
    • 리플
    • 767
    • -2.91%
    • 솔라나
    • 220,000
    • -3.42%
    • 에이다
    • 688
    • -5.88%
    • 이오스
    • 1,207
    • -0.25%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66
    • -1.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300
    • -4.61%
    • 체인링크
    • 21,380
    • -2.82%
    • 샌드박스
    • 685
    • -3.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