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일자리 창출 위해 구조개혁 등 전방위적 정책 추진 필요”

입력 2015-09-05 02: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9월 4일 오후(현지시간) 터키 앙카라 쉐라톤 호텔에서 열린 'G20 고용.재무장관 합동회의'에 참석, 공식 기념사진 촬영에 앞서 참석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기획재정부)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9월 4일 오후(현지시간) 터키 앙카라 쉐라톤 호텔에서 열린 'G20 고용.재무장관 합동회의'에 참석, 공식 기념사진 촬영에 앞서 참석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기획재정부)
G20은 저성장과 부족한 일자리 창출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구조개혁, 성장친화적 재정정책, 세제 지원 등 전방위적인 정책추진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G20은 4일 (현지시각) 터키 앙카라에서 열린 재무·고용장관 합동회의에서 2025년까지 국가별로 좋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의 비율을 현재보다 15% 감축하는 목표에 합의하고 오는 11월 안탈리아 정상회의에서 청년고용 확대 목표를 채택하기로 했다.

2013년 7월 이후 두 번째로 개최된 이번 회의는 고용과 성장, 소득 불평등을 주요 의제로 진행됐다.

이번 회의에서 G20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강한 성장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저성장과 부족한 일자리 창출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 구조개혁, 성장친화적 재정정책, 세제 지원, 인프라 투자 확대 등 전방위적인 정책추진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청년과 여성 등 일자리를 찾기 쉽지 않은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정책적 배려가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소득 불평등과 관련해서는 금융위기 이후 대부분 선진국에서 확대 추세이고, 신흥국은 국가별로 다르긴 하나 대체로 높은 수준이라 진단했다.

또 소득불평등 확대는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잠재성장률 저하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소득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도 일자리 창출이 최우선되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경제로 체질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노동개혁은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격차를 줄이는 한편 사회안전망을 강화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경제 구조로 전환 중”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범죄도시4’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범죄도시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직장 상사·후배와의 점심, 누가 계산 해야 할까? [그래픽뉴스]
  • 동네 빵집의 기적?…"성심당은 사랑입니다" [이슈크래커]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임영웅 콘서트 VIP 연석 잡은 썰 푼다” 효녀 박보영의 생생 후기
  • 꽁냥이 챌린지 열풍…“꽁꽁 얼어붙은 한강 위로 고양이가 걸어다닙니다”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18,000
    • +3.09%
    • 이더리움
    • 4,528,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702,500
    • -0.28%
    • 리플
    • 732
    • +0.69%
    • 솔라나
    • 210,900
    • +7.71%
    • 에이다
    • 693
    • +5.48%
    • 이오스
    • 1,151
    • +6.87%
    • 트론
    • 161
    • +1.26%
    • 스텔라루멘
    • 165
    • +3.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000
    • +0.21%
    • 체인링크
    • 20,160
    • +3.44%
    • 샌드박스
    • 655
    • +3.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