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의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아워오션 콘퍼런스(Our Ocean Conference, OOC) 10차 회의가 30일 성공리에 폐막했다. 우리나라는 개최국으로서 해양의 건전한 이용과 보전을 촉구하기 위해 선도적인 70여 개의 공약을 담은 ‘지속 가능한 해양을 위한 행동계획(Korea Blue Action Plan)’을 발표하는 등 글로벌 해양 리더로 자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29일 "올해 2000㎢ 이상의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매년 보호구역 면적을 지속 확대해 30by30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30by30는 유엔해양총회가 2030년까지 전 세계 바다의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목표를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 해양관할권(EEZ)에서 해양보호구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1.8% 정도다.
해양수산부가 이달 28~30일 부산에서 열리는 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ur Ocean Conference, OOC)에서 76개의 도전적인 실천공약 패키지인 ‘지속 가능한 해양을 위한 행동계획(Korea Blue Action Plan)’을 발표한다.
27일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OOC는 대표적인 고위급 해양 국제회의로 매년 전 세계 해양 리더가 모여
극지연, 아델리펭귄 '이원적 먹이사냥' 포착기후 변화로 먹이터ㆍ서식지 위기새끼는 근처서, 어미는 멀리서 먹이 확보
기후 위기가 남극 생태계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남극 로스해에 서식하는 아델리펭귄은 먹이터와 서식지가 줄어들자, 새끼와 부모에 걸쳐 사냥 전략을 다르게 적용하며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
삼성물산 리조트부문이 운영하는 에버랜드가 '세계 펭귄의 날'(4월 25일)을 하루 앞둔 24일 멸종위기종인 펭귄과 바다 보호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는 특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주키퍼(사육사)들은 이날 에버랜드 펭귄아일랜드에서는 양미리가 올라간 케이크 및 비눗방울 등 펭귄들이 좋아하는 인리치먼트(행동 풍부화) 활동을 선물했다.
또한 주키퍼들은 현장 고
전 세계 해양 리더가 모여 '해양의 다포스포럼'이라고 불리는 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ur Ocean Conference, OOC)와 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해양관계장관회의가 28일부터 내달 1일까지 부산에서 연이어 열린다.
2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OOC는 대표적인 고위급 해양 국제회의로 매년 전 세계 해양 리더가 모여 해양 현안을
삼성전자는 유엔개발계획(UNDP)과 협력해 운영 중인 '제너레이션17' 프로그램에 5명의 청년리더가 합류했다고 15일 밝혔다.
제너레이션17은 UN이 채택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2030년까지 달성하기 위해 청년 활동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에 선정된 리더들은 해양 보호, 환경·지속가능성, 양질의 교육 등 분야에 집중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 관탈도·신도리가 해양보호구역으로 신규 지정되고 독도등대 등 3개 등대가 등대유산으로 추가됐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 1회 해양수산발전위원회를 열어 △2025년도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안), △제주 관탈도 해양보호구역 지정(안), △제주 신도리 해양보호구역 지정(안), △등대유산 신규 지정(안) 등 4건을 의결했다고 1일 밝혔다.
24일부터 산분장 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보건복지부는 14일 국무회의에서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 개정된 모법은 ‘화장한 유골(遺骨)의 골분(骨粉)을 뿌려서 장사지내는 산분장(散紛葬)’이 가능한 구체적 장소를 시행령에 규정하도록 위임했다. 이에 복지부는 ‘육지의 해안선에서 5km 이상 떨어진 해양과
2045년 세계 최대 항만을 목표로 부산항 진해신항이 본격 착공하고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2곳을 선정해 연안지역의 활력을 높인다.
해양수산부는 13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주요현안 해법회의(경제2 분야)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민생에 온기를, 경제에 활력을 더하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코오롱FnC)은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 기업 최초로 ‘패션팩트(The Fashion Pact)’ 가입한다고 31일 밝혔다.
패션팩트는 기후변화 완화, 생물다양성 복원, 해양 보호를 통해 넷제로(Net- Zero) 미래를 만들기 위해 전념하는 패션기업들의 글로벌 협약이다.
2019년 G7 정상회담에서
인공증식으로 태어난 어미에서 나온 남방방게 어린 게가 자연에 방류된다.
해양수산부는 26일에 해양보호생물인 남방방게 300마리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연안에 방류한다고 밝혔다.
남방방게는 참게과로 모래펄에 굴을 파고 살아가며 갑각길이 약 19㎜, 너비 약 23㎜ 내외의 소형 게류(類)의 일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에서 서식하고
미국 타임스스퀘어에 ‘멸종 위기’ 바다사자 캠페인 영상 공개눈표범‧흰머리수리에 이은 세 번째 테마기후 변화로 서식지 파괴·먹이 부족…해양 오염 심각성 강조연례 최대 규모의 기후 행사 ‘뉴욕 기후 주간’에 맞춰 공개세계 곳곳 생물 다양성 보호 활동 전개…‘모두의 더 나은 삶’ 실천
LG전자가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서 ‘바다사자
LG화학은 ‘잘피 서식지 복원 및 연구 사업’의 중간 모니터링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LG화학은 지난해부터 사업장이 있는 여수 앞바다 대경도 인근 잘피 군락지 복원에 나섰다. 크고 작은 잘피 군락 사이 빈 공간에 잘피를 이식하고 군락지들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잘피 군락지는 복원 사업 이후 감소세를 멈추고 면적이 늘어났다. LG화학은 지난해 10월 1
경상북도 포항 호미반도 해양보호구역이 동해안 최대 규모로 확대된다.
해양수산부는 6일 자로 해양보호생물인 게바다말, 새우말 등이 서식하고 있어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경북 포항 호미반도의 해양보호구역을 0.25㎢에서 71.77㎢로 확대ㆍ지정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동해안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
게바다말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연간 비닐 150억 개 감축 효과 올해 연말까지 100% 전환 목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20일(현지시간) 미국ㆍ캐나다ㆍ멕시코 등 북미 지역에서 제품 포장에 사용하던 비닐 충전재를 종이로 95% 교체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아마존은 이번 조치로 북미 지역에서 연간 약 150억 개의 비닐 포장재 사용이
정부가 1297억 원을 투입해 포항 호미반도에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을 추진한다.
정부는 20일 영남대학교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스물여섯 번째,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허브 경북'을 개최하고 이 같은 포항 호미반도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경북 포항시의 호미반도는 우리나라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호미곶과 동해의 해안선을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