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란 공격’ 침묵 지켰던 중국, 방관자로 남을 위기

입력 2025-06-24 16: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란 두둔하면서도 군사적 지원은 안 해
미국은 군사력으로 휴전 중재
"글로벌 평화 중재자 노력 약화할 수도"
사우디, UAE에 집중한다는 분석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카자흐스탄 수도인 아스타나에서 열린 중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아스타나/AFP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카자흐스탄 수도인 아스타나에서 열린 중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아스타나/AFP연합뉴스
미국이 이란을 공격했던 당시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던 중국이 끝내 방관자로 남을 위기에 처했다. 중동에서의 입지를 다질 기회였지만, 미국이 군사력을 동원해 휴전을 끌어내면서 애매한 위치에 서게 됐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에 따르면 지난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한 후 이스라엘과 이란의 갈등에 관한 입장을 내놨다. 시 주석은 “중동이 불안정하면 세계는 평화롭지 못할 것”이라며 “전쟁 당사자들, 특히 이스라엘은 악순환을 막고 전쟁 여파를 단호히 피하고자 가능한 한 빨리 공격을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이란을 두둔하는 시 주석의 발언은 수사적일 뿐 물질적 지원으로 이어지진 않았다고 타임은 지적했다. 중국이 역사적으로 불간섭 정책을 고수해온 데다 경기침체와 미국과의 무역 협상 등 자국 문제에 더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윌리엄 피게로아 흐로닝언대 국제관계학 교수 역시 “중국은 수년에 걸쳐 중동에 대한 투자와 영향력을 심화하려 노력했다”면서도 “중국의 군사적 지원이 부족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앞서 싱크탱크 미국평화연구소는 보고서에서 “중동에 미국의 군사력이 집중되면 중국은 남중국해와 대만에서 더 공격적으로 행동할 여지를 갖게 된다”며 “미국이 전쟁에 집중하는 것을 전략적 기회로 여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스라엘과 이란이 예상보다 빨리 휴전에 합의하면서 이마저도 물거품이 됐다.

타임은 “중국이 중동 평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자국을 효과적인 글로벌 평화 중재자로 묘사하려던 최근의 노력이 심각하게 약해질 수 있다”며 “이미 2023년 중국이 제안한 평화 계획을 우크라이나가 거부한 상황에서 특히 그렇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계산적으로 이란과 거리를 두는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는 “중국이 이란을 구제할 것이라고 기대하지 말라. 중국은 10년간 투자한 수십억 달러의 손실 위험에 직면했지만, 이란을 지원할 가능성은 여전히 작다”며 “중국은 이란의 미래보다 걸프 국가들에 더 관심이 많다”고 짚었다. 이어 “최대 교역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와의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사우디, UAE와의 유대 강화는 장기적인 에너지 접근성 확보와 안정적인 경제 협력 환경 구축이라는 중국의 야심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325,000
    • -0.29%
    • 이더리움
    • 3,980,000
    • -1.49%
    • 비트코인 캐시
    • 697,500
    • -1.34%
    • 리플
    • 3,759
    • +4.71%
    • 솔라나
    • 217,200
    • -2.16%
    • 에이다
    • 969
    • -2.02%
    • 트론
    • 408
    • +1.49%
    • 스텔라루멘
    • 536
    • +21.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310
    • -2.22%
    • 체인링크
    • 20,450
    • -2.57%
    • 샌드박스
    • 388
    • -2.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