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백색가전에도 50% 추가관세 발효…美 물가 또 불붙을라

입력 2025-06-24 14: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입 세탁기·냉장고 등 품목 대상…韓 기업도 영향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미플린에서 세탁기를 살펴보고 있다. 웨스트미플린(미국)/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미플린에서 세탁기를 살펴보고 있다. 웨스트미플린(미국)/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3일(현지시간) 세탁기, 냉장고, 오븐 등 외국산 가전제품에 최대 50%의 관세를 적용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부과 대상에 세탁기, 냉장고 등 백색 가전을 추가한 조치가 이날 자정 부로 발효됐다고 밝혔다. 제조업의 국내 회귀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3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발동했다. 이어 6월 4일에는 이를 두 배인 50%로 인상했다. 여기에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오븐, 식기세척기 등을 철강·알루미늄의 ‘파생 제품’으로 간주해 함량에 따라 최대 50%의 관세를 물리기로 했다.

가전제품에 대한 세금이 확대되면 향후 몇 달 동안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 시카고대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경제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1기인 2018년 초 외국산 세탁기에 최대 50%의 관세가 부과됐을 때 소비자 가격은 품목당 평균 약 12% 뛰었다. 특히 당시 관세 부과 품목이 아니었던 의류 건조기 가격도 비슷한 가격 상승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수출이 많은 한국, 멕시코, 중국 기업이 추가 관세의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이미 일부 한국 기업은 고관세를 피하고자 대상에 포함된 냉장고와 오븐의 미국 내 생산 확대 방침을 밝힌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크립토위크' 순항 기류에 비트코인 소폭 상승…이더리움 3300달러 돌파
  • 해마다 오르는 최저임금...흔들리는 중기·소상공인 생존권
  • 광주·전남 곳곳 홍수주의보…도로·건물 침수 속출
  • 이재용 ‘경영권 부당승계’ 19개 혐의 전부 무죄 확정…檢기소 4년 10개월만
  • ‘삶의 질’ vs ‘생산성’⋯노동계-경영계 극명한 입장 차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오작동 아니었으면 못 잡았다"…안동 '여고 시험지 유출' 전말
  • '골 때리는 그녀들' 구척장신, 불나비에 3-1 승리⋯4강 직행ㆍ김진경 멀티골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14:4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296,000
    • -0.1%
    • 이더리움
    • 4,577,000
    • +6.32%
    • 비트코인 캐시
    • 673,500
    • -1.25%
    • 리플
    • 4,272
    • +6.75%
    • 솔라나
    • 233,600
    • +4.47%
    • 에이다
    • 1,045
    • +2.85%
    • 트론
    • 424
    • +2.91%
    • 스텔라루멘
    • 645
    • +2.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50
    • -4.04%
    • 체인링크
    • 22,710
    • +3.27%
    • 샌드박스
    • 428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