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대, 김건희 여사 석사학위 취소...국민대도 “박사학위 취소 절차 착수”(종합)

입력 2025-06-24 14: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민대 “박사학위 입학 자격은 ‘석사학위’ 소지자”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제3투표소에서 투표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제3투표소에서 투표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숙명여대가 김건희 여사의 미술교육학 석사학위를 취소한 데 이어 국민대도 김 여사의 박사학위 취소 절차에 착수했다. 김 여사의 석사학위가 취소됨에 따라 박사학위 과정 입학 자격 요건이 사라졌다는 판단에서다.

24일 국민대는 보도자료를 내고 김 여사의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 과정 입학 자격 및 학위 수여 무효 처분에 관한 행정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국민대는 “고등교육법 33조4항을 근거로 박사학위 과정 입학 자격은 ‘석사학위를 소지한 자’이므로 박사학위 과정 입학 시 제출한 석사학위가 취소된 경우 박사학위 과정 입학은 자격 요건을 상실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관련 절차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하고자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숙명여대는 전날 교육대학원위원회에서 김 여사의 석사학위 취소를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숙명여대는 “이번 결정은 연구윤리 확립과 학문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내려진 판단”이라며 “앞으로도 대학 본연의 책무에 충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여사는 1999년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에서 '파울 클레의 회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논문을 제출해 미술교육학 석사 학위를 땄지만, 2021년 12월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졌다. 숙명여대는 2022년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를 구성해 조사를 벌여왔다.

국민대는 학위 취소에 대한 공식 문서 확보를 위해 김 여사에 동의를 확보할 예정이다. 사실확인 절차가 마무리되면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운영위원회를 통해 관련 안건을 공식 상정하고 심의·의결을 거쳐 결과를 확정한 뒤 후속 조처를 시행하게 된다.

김 여사는 지난 2008년 국민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운세 콘텐츠 개발 연구 : 애니타 개발과 시장적용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대 40만 원 인상’ 국가장학금…올해 2학기부터 얼마나 늘까? [경제한줌]
  • 여름 제철 ‘냉면 값’, 전국 광역지자체 대부분 1만원 웃돌아 [물가 돋보기]
  • 충청 이어 남부도 ‘물폭탄’ 예고…폭우 뒤엔 폭염 다시 찾아온다
  • 강선우·이진숙 ‘버티기’ 돌입...주말이 고비
  • 檢, 공소사실 추가했지만…대법 "이재용 혐의 전부 무죄"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통장 3개 중 1개 서울로"… 청약시장 수도권 쏠림 뚜렷
  • 엔비디아 훈풍에 잘나가던 반도체株…하이닉스 급락에 제동 걸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980,000
    • +0.44%
    • 이더리움
    • 4,683,000
    • +2.9%
    • 비트코인 캐시
    • 677,000
    • -0.44%
    • 리플
    • 4,575
    • +10.53%
    • 솔라나
    • 238,200
    • +1.32%
    • 에이다
    • 1,105
    • +6.76%
    • 트론
    • 432
    • +4.35%
    • 스텔라루멘
    • 648
    • +2.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10
    • -2.13%
    • 체인링크
    • 23,480
    • +2.67%
    • 샌드박스
    • 434
    • +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