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정상회의 개막, 미국 이란대응에 ‘내분’ 조짐...우크라전은 뒷전

입력 2025-06-24 08: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
트럼프 성향에 맞춘 일정...본회의 짧게 한 번
국방비 5% 증액에 집중...우크라전은 뒷전으로
미국의 이란대응에 ‘내분’ 조짐도

▲23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24~25일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회의실이 보이고 있다. 헤이그/AFP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24~25일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회의실이 보이고 있다. 헤이그/AFP연합뉴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24일(현지시간) 공식 개막한다. 나토에 참여하는 32개국 정상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2기 행정부가 출범한 뒤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인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각국 정상들은 이날 오전부터 네덜란드 헤이그에 집결하기 시작한다.

32개국 정상이 모두 참여하는 첫 일정은 이날 오후 7시 네덜란드 빌럼 알렉산더르 국왕 관저에서 개최되는 환영 만찬이다. 이후 정상들은 25일 오전 북대서양이사회(NAC) 본회의에 참석한다.

이번 정상회의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에 맞춰 계획됐다. 최근 타임지에 따르면 NAC 본회의가 2~3차례 열리던 예년과 달리 올해 단 한 차례 회의만 2시간 30분으로 진행되는데 다자회의나 긴 회의를 선호하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에 맞게 조정됐다는 해석이다.

논의의 초점도 나토 회원국의 국방비 증액에만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WP는 전망했다. 32개국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2035년까지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를 지출한다는 새로운 계획에 합의할 예정이다.

이 역시 직접 군사비 3.5%, 간접적 안보 관련 비용 1.5% 지출로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였던 5%를 어렵사리 맞췄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전날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이 사전 기자회견에서 모든 국가에 동일한 5% 기준 적용을 강조했지만 스페인이나 벨기에, 슬로바키아 등은 합의가 공식 발표되기도 전에 면제 등을 주장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현안은 뒷전으로 밀릴 것으로 예상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24일 만찬에 참석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의 양자 회담 성사 여부는 불확실하다.

오히려 논의가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여파로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통신은 다른 나토 지도자들이 트럼프에게 직접 혹은 기자들에게 발언하는 방식으로 이 공격에 대해 언급할지 여부도 중요하다고 짚었다.

미국의 이란 대응 방식을 두고 ‘내분’ 조짐도 보이고 있다. 요나스 가르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등은 미국의 이란 공격이 국제법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반면 뤼터 사무총장은 사전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에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해서는 안 된다는 게 나토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미국이 한 일이 국제법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이스라엘과 이란이 12일간 진행해온 무력 충돌과 관련해 양국이 ‘완전하고 전면적인 휴전’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대 40만 원 인상’ 국가장학금…올해 2학기부터 얼마나 늘까? [경제한줌]
  • 여름 제철 ‘냉면 값’, 전국 광역지자체 대부분 1만원 웃돌아 [물가 돋보기]
  • 충청 이어 남부도 ‘물폭탄’ 예고…폭우 뒤엔 폭염 다시 찾아온다
  • 강선우·이진숙 ‘버티기’ 돌입...주말이 고비
  • 檢, 공소사실 추가했지만…대법 "이재용 혐의 전부 무죄"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통장 3개 중 1개 서울로"… 청약시장 수도권 쏠림 뚜렷
  • 엔비디아 훈풍에 잘나가던 반도체株…하이닉스 급락에 제동 걸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805,000
    • +0.31%
    • 이더리움
    • 4,683,000
    • +2.34%
    • 비트코인 캐시
    • 676,500
    • -0.66%
    • 리플
    • 4,597
    • +10.45%
    • 솔라나
    • 238,600
    • +0.89%
    • 에이다
    • 1,106
    • +6.45%
    • 트론
    • 432
    • +4.1%
    • 스텔라루멘
    • 650
    • +1.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90
    • -1.93%
    • 체인링크
    • 23,440
    • +2.22%
    • 샌드박스
    • 434
    • +0.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