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독립적인 팩트체크 지원해야
“기후 허위정보 대응, 모두의 과제”

노비 쿠르니아(Novi Kurnia) 가자 마다 대학교(UGM) 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는 ‘기후위기 시대, AI(인공지능)가 열어갈 새로운 세계: 희망인가, 위험인가?’를 주제로 2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리는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CESS·Climate-Energy Summit Seoul) 2025’ 패널 참석에 앞서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허위 정보 대응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쿠르니아 교수는 기후 관련 허위정보가 점점 더 확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기후 허위정보는 단순한 정보 왜곡을 넘어 실제 대응 노력에 심각한 방해가 된다”며 “이러한 콘텐츠는 국내외에서 모두 유래할 수 있으므로 팩트체크 과정 자체에 다양한 도전이 따른다”고 말했다.
온라인 여론조사기관 ‘유고브(YouGov)’에 따르면 2019~2020년 인도네시아인의 18%는 기후변화가 인간의 책임이 아니라고 답했다. 2021년에는 22%가 ‘인간이 초래한 지구온난화는 속임수일 수 있다’고 응답했다. 쿠르니아 교수 연구팀의 조사에서도 응답자 24.2%가 기후위기를 ‘글로벌 엘리트가 조작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는 이 같은 기후 허위정보가 정책 지연, 여론 양극화, 정부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쿠르니아 교수는 “이제는 정확한 정보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에 그치지 않고, 사회 전체가 어떤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인지에 주목해야 한다”며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신뢰 가능한 정보의 유통 구조 확립, 시민 참여 기반의 정책 설계가 모두 병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쿠르니아 교수는 기후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의 책임도 중요하다고 봤다. 그는 “플랫폼은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허위 내러티브를 조정하며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우선 노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용자에게 경고 라벨을 제공하고 독립적인 팩트체킹을 지원하는 한편 디지털 및 기후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교육 자원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실제 사례로 인도네시아와 독일의 협력으로 개발 중인 기후정보 검증 플랫폼 ‘팍타이클림(FaktaIklim)’을 소개했다. 그는 “이 플랫폼은 미낭카바우어, 발리어, 부기어 등 지역 언어로 기후 정보를 제공하고 챗봇을 통해 허위정보 검증이 가능하다”며 “현지화된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콘텐츠 양과 확산력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했다.
그는 기후위기와 디지털 전환이 서로 깊게 얽혀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쿠르니아 교수는 “기술은 정보를 더 넓게 퍼뜨릴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소외와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모든 이해관계자가 협력해 포용적이고 공정한 정보 환경, 즉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I 기술에 대해서는 “기후 변화 예측, 정책 시뮬레이션, 에너지 효율화 등 기여할 수 있는 영역이 많다”면서도 “딥페이크나 자동화된 봇에 의해 기후 허위정보가 무차별적으로 확산할 위험성도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AI 기술의 투명성과 윤리성 확보, 다자간 거버넌스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그는 기술적 조치나 규제만으로 기후 허위정보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쿠르니아 교수는 “기후 허위정보에 대응하는 일은 모두의 과제”라며 “개인의 정보 소비 습관부터 정책 결정 과정까지, 각자의 자리에서 실천을 이어간다면 결국 사회 전체를 바꾸는 큰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쿠르니아 교수는 인도네시아 디지털사회연구센터(CfDS) 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가이기도 한 그는 2017년부터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미디어 교육과 정책 자문, 시민사회 연대를 이끌며 “지금은 선언이 아닌, 행동의 전환점”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