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란 공습에 금융·유가 출렁…"과도한 변동성엔 상황별 대응계획 가동"

입력 2025-06-23 09: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동사태 관계기관 비상대응반 회의
기재장관 대행 "유가상승 편승 불법행위 철저 점검"
"원유·LNG 수급 차질 없지만…부문별 24시간 감시"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동사태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동사태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정부가 미국의 이란 공습 이후 국제유가 급등, 금융시장 변동성 등에 대응하기 위해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을 열었다. 당장 국내 원유·액화천연가스(LNG) 수급에는 차질이 없지만 특이 동향이 발생할 경우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t plan)을 가동하기로 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23일 중동 사태 관련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주재해 중동 사태·국내외 경제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기재부를 비롯해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 관계기관이 회의에 참석했다.

이 대행은 "미국의 공습 이후 이란 의회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하는 등 향후 사태 전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이라며 "오늘 국제유가가 2~3%대 상승 출발하는 등 국제에너지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관계기관이 각별한 경계심을 갖고 국제에너지 가격 및 수급 상황을 밀착 점검·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행은 "정부가 어려운 세수 여건 속에서도 유류세 인하조치를 2개월 연장한 만큼 범정부 석유시장 점검단을 중심으로 유가 상승에 편승한 불법행위를 철저히 점검하는 등 국내 석유류 시장이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이란 공습 이후 주요국에 앞서 우리 금융시장이 먼저 개장하는 점을 고려해 시장 동향을 밀착 점검하고 과도한 변동성이 나타날 경우 관계기관 간 긴밀한 협업 하에 필요한 조치를 즉각 시행하라"고 주문했다.

정부는 미국의 이란 공습 이후 현재까지 국내 원유와 LNG 도입 차질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중동 인근을 항해 중인 우리 선박 31척도 안전 운항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향후 중동 사태와 관련해 우리 경제 전반에 미칠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 만큼 정부는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을 중심으로 금융·에너지·수출입·해운물류 등 부문별 동향을 24시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특이동향 발생 시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긴밀한 공조 하에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430,000
    • +0.11%
    • 이더리움
    • 3,987,000
    • -1.48%
    • 비트코인 캐시
    • 689,500
    • -2.68%
    • 리플
    • 3,754
    • +3.19%
    • 솔라나
    • 216,400
    • -3.22%
    • 에이다
    • 963
    • -4.27%
    • 트론
    • 408
    • +1.24%
    • 스텔라루멘
    • 537
    • +19.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190
    • -3.16%
    • 체인링크
    • 20,400
    • -3.23%
    • 샌드박스
    • 387
    • -3.01%
* 24시간 변동률 기준